♬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연안송씨(延安宋氏) - 1
    유래
     시조 : 송경(宋卿)
    시조 송경(宋卿)의 시호는 숙의이며 고려 공민왕때 찬성사가 되고 1359년(공민왕 9년)에 홍건적의 난때 모거경을 격파한 공으로 1364년(공민왕 14년)에 직밀직사사에 올랐으며 이듬해에 연안 부원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하고 연안을 본관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희문(宋希文) : 문과(文科) 연산군12년(1506) 별시 병과(丙科)
     송희명(宋希明, 1823 癸未生) : 문과(文科) 철종5년(1854) 정시 병과(丙科)
     송인수(宋仁粹)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별시2 정과(丁科)
     송운렴(宋雲濂,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시주(宋時柱, 1635 乙亥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송시광(宋時光, 1660 庚子生) : 무과(武科) 숙종13년(1687) 알성시 병과(丙科)
     송덕준(宋德俊, 1558 戊午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송흥방(宋興邦)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송낙구(宋洛九, 1848 戊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25년(1888) 식년시 삼등(三等)
     송규응(宋奎應, 187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2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5명, 생원진사시 19명)
  • ※ 과거급제자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4世
    진(鎭)
    25世
    한(漢)
    26世
    동(東)
    27世
    열(烈)
    28世
    곤(坤)
    29世
    용(鏞)
    30世
    홍(洪)
    31世
    근(根)
    32世
    연(然)
    33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5世孫은 24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
    연안(延安)은 황해도 연백군(延白郡) 일원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 동음홀(冬音忽) 또는 고염성(鼓鹽城)이라 부르다가 신라시대에 해고군(海皐郡)으로 바꾸었다. 고려에서는 염주(鹽州)·영응현(永膺縣)·복주(復州)·석주(碩州)·온주(溫州) 등으로 고쳐 불렀고, 1310년(충선왕 2)에 연안(延安)으로 고쳤다. 1413년(태종 13)에 연안도호부가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연안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연안군은 다시 배천군(白川郡)과 합하여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연안송씨(1)는
    1985년에는 2가구 10명, 2000년에는 3가구 1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
  • ※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를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았다.
  • 참고사항
    - 과거급제자는 연안송씨(2)가 포함되어 있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