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은진송씨(恩津宋氏)
유래
시조 : 송대원(宋大源)
시조 송대원(宋大源)은 여산송씨의 시조 송유익(宋惟翊)의 아우 송천익(宋天翊)의 후손이다. 송천익의 후손은 대대로 은진에서 살아왔으나 송천익 이후의 계보는 증빙(證憑)할 자료가 없기 때문에 고려때에 판원사를 지내고 은진군에 봉해진 송대원(宋大源)을 시조 및 1세 조상으로 하고 본관을 은진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병찬(宋秉瓚, 1837 丁酉生) : 문과(文科) 고종28년(1891)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민수(宋敏洙,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흠익(宋欽翼) : 문과(文科) 철종7년(185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종오(宋鍾五, 1828 戊子生) : 문과(文科) 고종25년(1888)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송재경(宋載經, 1718 戊戌生) : 문과(文科) 영조40년(1764) 정시 병과(丙科) 송재희(宋載禧, 1711 辛卯生) : 문과(文科) 영조48년(1772) 기로정시 을과(乙科) 송종규(宋鍾奎, 1856 丙辰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4 병과(丙科) 송유룡(宋儒龍, 1650 庚寅生) : 문과(文科) 숙종7년(1681) 식년시 을과(乙科) 송석윤(宋錫胤, 1590 庚寅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식년시 을과(乙科) 송몽석(宋夢錫, 1595 乙未生) : 문과(文科) 인조11년(1633)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29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8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16명, 음양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은진(恩津)은 충청남도 논산시(論山市)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덕은(德恩)·시진(市津) 두 현을 합한 지명이다. 덕은현은 본래 백제의 덕근군(德近郡)을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덕은(德殷)으로 고치고, 고려 초에 덕은(德恩)으로 개칭하였다. 시진현(市津縣)은 본래 백제의 가지내현(加知奈縣: 加乙奈·薪浦)인데 757년(경덕왕 16) 시진(市津)으로 고치고 덕은군의 영현이 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덕은과 시진을 모두 공주(公州)에 편입시켰다. 1397년(태조 6)에 현을 두었고, 1406년(태종 6)에 덕은·시진을 합쳐 덕은으로 하고 감무를 두었다. 1419년(세종 1)에 은진(恩津)으로 개명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은진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 은진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논산군에 병합하여 은진면으로 남아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은진송씨는
1985년에는 42,972가구 179,261명, 2000년에는 64,590가구 208,81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26,050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