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죽산송씨(竹山宋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환(宋桓,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을과(乙科)
송늣동(宋○同,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응추(宋應秋,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언충(宋彦忠)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년(1546) 식년시 삼등(三等)
송휴(宋休)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예종1년(1469) 증광시 삼등(三等)
송경렴(宋景濂, 1700 庚辰生) : 역과(譯科) 경종1년(1721) 증광시 ()
송태연(宋泰演, 1702 壬午生) : 역과(譯科) 경종2년(1722) 증광시 ()
송유적(宋裕績, 1665 乙巳生) : 역과(譯科) 숙종10년(1684) 식년시 ()
송유양(宋裕養, 1649 己丑生) : 역과(譯科) 숙종1년(1675) 식년시 ()
송경(宋璟) : 역과(譯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3명, 생원진사시 2명, 역과 5명, 율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안성
죽산(竹山)은 경기도 용인시(龍仁市)과 안성시(安城市) 일부에 속해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죽산현(竹山縣)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543년(중종 38)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죽산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원일면(遠一面)과 근삼면(近三面) 일부는 용인군(龍仁郡)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安城郡)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죽산송씨는
1985년에는 34가구 174명, 2000년에는 71가구 23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