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태인송씨(泰仁宋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상주(宋尙周, 1630 庚午生) : 문과(文科) 현종4년(1663) 식년시 병과(丙科)
송호(宋瑚, 1373 癸丑生) : 문과(文科) 태조2년(1393)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송득준(宋得俊,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의기(宋儀耆,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계일(宋戒一,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자상(宋自商)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연산군7년(1501)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시
태인(泰仁)은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태산현(泰山縣)과 인의현(仁義縣)의 합명이다. 태산현은 본래 백제의 대시산현(大尸山縣)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태산(太山)으로 고쳐 대산(大山)·태산(泰山) 등으로 불렸다. 940년(고려 태조 23) 빈성을 인의현으로 고치고, 1354년(공민왕 3) 대산군 태산(太山)으로 고치고 인의를 편입하였다. 인의현은 백제 때 빈굴(賓屈)·빈성(斌城)·부성(賦城) 등으로 불렸다가 신라 때 무성(武城)으로 고쳤고, 고려에 인의(仁義)로 고쳤다가 1409년(태종 9)에 태산(泰山)과 합하여 태인현(泰仁縣)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 관할의 고부군·태인군·정읍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전라북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부군과 태인군이 폐지되었고, 정읍군에 병합됨으로써 면적이 크게 넓어졌다. 1930년에 정읍면이 정주면으로 되었고, 1931년에 정주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정주읍이 시로 승격하여 정주시와 정읍군으로 나누어졌고, 1995년 정주시와 정읍군이 정읍시로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태인송씨는
1985년에는 3가구 12명, 2000년에는 29가구 9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