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홍주송씨(洪州宋氏)
    유래
     시조 : 송평(宋枰)
    여산송씨의 시조 송유익의 12세손 송말선(宋末善)이 홍주의 신평에 살았으나 보책이 없어져 계대를 밝힐 수없자 신평송씨(2)의 시조 송구진의 후손인 송평을 시조로 하고 있다.
    송평(宋枰)은 조선 세조 때 조지서 별제(造紙署別提)와 세작익위사 익위(世子翊衛司翊衛) 등을 지내고 향리인 전북 순창으로 돌아가 유유자적하다가 만년에 전남 담양으로 이거하여 여생을 마쳤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평(枰)을 시조로 받들고 본관을 홍주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인물
    시조의 아들 송기손(宋麒孫)이 성종 때 통정대부(通政大夫)로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남평(南平)과 구례(求禮) 등지의 수령을 역임한 후 내직으로 들어와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를 지냈고, 그의 아들 대에서 아락당공파·우유당공파·청심헌공파 등 크게 세 갈래로 갈라져서 가세를 일으켰다. 가문을 빛낸 두드러진 인맥을 살펴보면 아락당공파의 송준(宋駿)이 중종 때 생원시에 합격하여 효렴으로 참봉이 되고 뒤에 별좌(別坐)와 주부(主簿)·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단성 현감(丹城 縣監)을 지냈으며, 그의 아우 송숙(우유당공파)은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후진 양성에 진력하며 학행으로 명망이 높았다. 청신헌공파의 송구(宋駒)는 천품이 뛰어나고 학문이 깊었으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공양함에 열성을 다해 주위의 칭송을 받았다. 성종 때 생원시에 합격한 그는 학행으로 참봉(參奉)에 천거되었고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외직으로 나가 임피, 화순, 구례, 김제, 동복 등 12개 고을의 원을 역임하며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이 그 보답으로 대나무 세그루를 뜰에 심어 주었다. 그후에 아들 둘과 딸 하나를 낳게 되자 이름에 죽(竹) 자를 넣어 아들 이름을 송정순(宋庭筍, 전주 군수를 역임), 송정황(宋庭篁)이라 지었다고 하며 그들이 모두 현달하여 가문을 크게 빛냈다. 명종 때 문과에 급제한 송정순(宋庭筍)은 전적(典籍)과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을 거쳐 형조(刑曹)와 예조(禮曹)의 좌랑(佐郞)을 역임하고 춘추관 기주관(春秋館記注官)이 되었으며, 그의 아우 송정황(宋庭篁)은 훙문관 정자(弘文館正字)를 거쳐 전라도 도사(全羅道都事)를 지냈다. 한편 토정 이지함(李之函)의 문하에서 수학했던 송제민(宋齊民, 정황의 아들)은 호방한 기질로 벼슬에 뜻을 두지 않았으며, 호를 해광(海狂)이라 하고 넓은 바다를 종횡으로 누비며 정처없이 배를 타고 풍파에 쾌감을 느끼곤 하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산수 등과 더불어 창의하여 김천일(金千鎰)과 합세하여 수원성을 방어했고, 조헌(趙憲)을 좌의병대장(左義兵大將)을 추대하여 황간(黃磵)과 영동의 왜적을 막게 했다. 왜란이 끝나자 난중의 모든 일과 득실을 논술한 「와신기사(臥薪記事)」를 저술했고 만년에 해산에 은거하여 농사를 지으며 후진 교육에 진력했다.
    그 외 송재민의 맏아들 송타(宋拖)가 뛰어난 학문으로 선조 때 문명을 떨쳤고, 문집으로「화암수록」을 저술, 시조 작품으로는 <화암구곡>과 <매농곡>을 남겼으며, 그의 아우 송계은(宋繼殷)은 제용감 봉사(濟用監奉事)를 역임하여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使)를 지낸 송수(宋燧, 타의 아들), 회양도호부사(淮陽都護府使) 송두문(宋斗文, 수익의 아들), 전라 도사(全羅都事) 송익중(宋益中),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使) 송인하(宋寅夏), 군수(郡守) 송동식(宋東植) 등과 함께 홍주 송씨를 더욱 빛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개신(宋介臣, 1373 癸丑生) : 문과(文科) 태조2년(1393)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송제(宋○, 1767 丁亥生) : 문과(文科) 정조20년(1796) 별시 을과(乙科)
     송정황(宋庭篁,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명종11년(1556) 별시 병과(丙科)
     송중현(宋重鉉, 1737 丁巳生) : 문과(文科) 영조47년(1771) 식년시 병과(丙科)
     송정순(宋庭筍) : 문과(文科) 명종13년(1558) 별시 병과(丙科)
     송승성(宋承成,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숙종1년(1675) 증광시 병과(丙科)
     송효흠(宋孝欽, 1590 庚寅生) : 무과(武科) 광해군5년(1613) 증광시 병과(丙科)
     송일희(宋日希,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언충(宋彦忠, 1586 丙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송인기(宋麟奇, 1550 庚戌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10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5世
    명(明)
    6世
    익(益)
    7世
    겸(謙)
    8世
    석(碩)
    9世
    익(翊)
    10世
    규(奎)
    11世
    현(鉉)
    12世
    -
    13世
    -
    1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6世孫은 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남도 홍성
    홍주(洪州)는 충청남도 홍성군(洪城郡)에 속해 있는 지명으로 백제 때에는 사시량현(沙尸良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평현(新平縣)으로 개칭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는 운주(運州)로 개편하여 도단련사(都團練使)를 파견하였다가 1012년(현종 3) 도단련사를 폐지하고 지주사(知州事)를 둔 후 홍주(洪州)로 개칭하였다. 1356년(공민왕 5)에 홍주목(洪州牧)으로 승격하었다. 조선시대에는 현종 때 잠시 홍양현(洪陽縣)으로 되었다가 곧 복구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가 되었다가, 1896년 도제 실시로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홍주부를 폐지하여 일부는 청양군(靑陽郡)에 속하고 그 나머지는 홍주면으로 축소되어 결성군(結城郡) 일원과 병합한 홍성군으로 개편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홍주송씨는
    1985년에는 1,626가구 6,765명, 2000년에는 2,340가구 7,71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67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