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회덕송씨(懷德宋氏)
    유래
     시조 : 송대원(宋大原)
    회덕송씨는 은진송씨이다.

    은진송씨 시조 송대원의 증손자인 송명의(宋明誼)가 처가인 회덕현(懷德縣) 황씨촌(黃氏村)에 자리 잡은 후, 은진송씨 6세손인 쌍청당(雙淸堂) 송유(宋愉) 이후로 가문이 번성하면서 회덕송씨라고 부르게 된 것이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송대승(宋大承, 1581 辛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대전광역시
    회덕(懷德)은 대전광역시(大田廣域市) 동구와 대덕구 일대에 있던 옛 지명이다. 백제 때에는 우술군(雨述郡) 또는 후천(朽淺)이라 부르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비풍군(比豊郡)으로 개칭하였고, 유성현(儒城縣)과 적오현(赤烏縣)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회덕현으로 이름을 바꾸어 1018년(현종 9) 공주(公州)에 편입되었다가 1172년(명종 2)에 감무를 설치하면서 독립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군현제 개편으로 회덕현으로 정해진 이래 조선시대 명맥이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회덕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남도 회덕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회덕군이 폐지되고 진잠면(鎭岑面) 일원과 공주군 현내면(縣內面)을 합하여 대전군(大田郡)으로 개칭되었다. 1935년 대전부로 승격됨에 따라 대덕군이 신설되었다. 1949년 대전부가 대전시로 개편되었고, 1989년 대덕군이 대전직할시로 편입되어 대덕구가 신설되었다가, 1995년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동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회덕송씨는
    1985년에는 2,155가구 8,835명, 2000년에는 2,801가구 9,17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51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