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안동고씨(安東高氏)
    유래
     시조 : 고응척(高應陟)
    시조는 조선시대에 군수(郡守)를 지낸 고응척(高應陟)이다.
    그러나 전하는 문헌이 없어 본관의 유래, 시조의 사적 등은 알 수가 없다. 다만 제주고씨에서 분적되었다고 한다.

    - 현재는 본관을 제주로 단일화되어 '제주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고한운(高翰雲, 1552 壬子生) : 문과(文科) 선조18년(158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고응척(高應陟, 1531 辛卯生) : 문과(文科) 명종16년(1561) 식년시 병과(丙科)
     고경선(高敬善, 1606 丙午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고한운(高翰雲, 155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6년(1573) 식년시 이등(二等)
     고응경(高應擎, 1524 甲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9년(1564) 식년시 일등(一等)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안동
    안동(安東)은 경상북도 북동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고대에는 창녕국(昌寧國)인 소국이었다. 신라가 이곳에 진출하여 고타야국(古陀倻國)으로 불렀고, 757년(경덕왕 16)에 고창군으로 개칭하고, 직령현·일계현·고구현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안동부로 승격되었다가 후에 영가군으로 강등되었고, 995년(성종 14) 행정구역 개편 때 길주로 승격되었다. 그 뒤 몇 차례의 변화를 거쳐 1030년(현종 21)에 안동부로 이름이 바뀌었다. 1197년(명종 27)에 도호부로 개칭되었고, 1204년(신종 7)에 대도호부로, 1308년(충선왕 즉위)에 복주목(福州牧)으로 계속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복주로 강등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승격되었으며, 1361년에 다시 안동대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383년(우왕 9)에는 안동도로 개편하였다가 1388년에 부사로 환원하였다. 조선시대에도 안동대도호부로서 경주와 함께 경상좌도(慶尙左道)의 대읍으로 정치·행정·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석릉(石陵)·고령(古寧)·화산(花山)·능라(綾羅)·지평(地平)·일계(一界)·고장(古藏)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안동부 안동군, 1896년에 경상북도 안동군이 되었다. 1931년 읍면제를 실시함에 따라 안동군 부내면이 안동읍으로 승격되었으며, 1963년에 안동읍이 신안동시로 승격되었다가 곧 안동시로 개칭하였다. 1995년 안동군이 안동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안동고씨는
    1985년에는 194가구 737명, 2000년에는 520가구 1,61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279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