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곡성신씨(谷城申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대수(申大壽) : 문과(文科) 명종19년(1564) 식년시 을과(乙科)
신복륜(申福倫)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세종29년(1447)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곡성
곡성(谷城)은 전라남도 곡성군 곡성읍 일대의 옛 통칭이다. 475년(백제 문주왕 1) 욕내(欲乃) 또는 욕천군(欲川郡)이라 하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 곡성으로 개칭하였다. 고려 초에는 승평군(昇平郡: 順天)의 속현으로 삼았다가 1018년(현종 9) 나주목(羅州牧) 관할이 되었고, 1172년(명종 2)에는 감무(監務)가 파견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현감(縣監)을 두었으며,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곡성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옥과군(玉果郡) 일부와 구례군 고달면(古達面) 일부를 편입하였고, 1979년 곡성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곡성군은 곡성읍과 오곡면(梧谷面)·겸면(兼面)·고달면(古達面)·목사동면(木寺洞面)·삼기면(三岐面)·석곡면(石谷面)·옥과면(玉果面)·입면(立面)·오산면(梧山面)·죽곡면(竹谷面)의 1읍 10개 면을 이루고 있다.
※ 곡성(谷城)은 황해도 곡산(谷山)의 옛 이름으로 고구려의 십곡성(十谷城)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곡성신씨는
1985년에는 9가구 35명, 2000년에는 172가구 54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