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아주신씨(鵝洲申氏)
유래
시조 : 신영미(申英美)
시조 신영미(申英美)는 고려 말엽 거제군에 속한 아주현의 호장(戶長)ㅇ,로 있었으므로 본관을 아주로 하였다. 족보중에 시조를 신숭겸으로 하고 하고 신익휴(申益休)를 중시조로 하는 족보가 있으나 이것은 잘못된 것이다. 조선 영조때 발행한 문헌비고(文獻備考)에 시조를 신영미로 명기되어있고 옛날 각 가정의 가첩(家牒)에는 역시 신영미를 시조로 계대(系代)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달도(申達道, 1576 丙子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홍망(申弘望, 1600 庚子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별시 병과(丙科) 신유(申瑠, 1606 丙午生) : 문과(文科) 인조24년(1646) 식년시 병과(丙科) 신면주(申冕周, 1768 戊子生) : 문과(文科) 순조5년(1805) 별시 병과(丙科) 신면횡(申冕鐄, 1794 甲寅生) : 문과(文科) 헌종3년(1837) 별시 을과(乙科) 신정모(申正模, 1691 辛未生) : 문과(文科) 숙종45년(1719) 증광시 병과(丙科) 신지제(申之悌) : 문과(文科) 선조22년(1589) 증광시 갑과(甲科) 신열도(申悅道, 1589 己丑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을과(乙科) 신규(申圭, 1611 辛亥生) : 문과(文科) 효종2년(1651) 식년시 을과(乙科) 신면직(申冕直, 1795 乙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34년(1834)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4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9명, 생원진사시 3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거제
아주(鵝州)는 경상남도 거제군(巨濟郡)에 속했던 지명으로 본래 소가야국(小伽倻國)의 일부였던 독로국(瀆盧國)이 있던 곳이기도 하다. 신라의 거적현(居績縣 또는 巨績)이었으며 청주(菁州: 晉州)에 속하였다. 677년(신라 문무왕 17) 거제에 처음으로 상군(裳軍)을 두었는데 삼속현(三屬縣)의거로현(居老縣)이라 하다가 757년(경덕왕 16) 거제군(巨濟郡) 아주현(鵝洲縣)으로 개칭하고 성을 쌓았으며 감무(監務)가 다스렸으나 1271년(고려 원종 12) 왜구의 침범으로 거창현(居昌縣)의 속현인 가조현(加祚縣)으로 현민 모두 피난갔다가 1422년(조선 세종 4) 거제현(巨濟縣)의 옛터로 돌아왔으며, 1432년(세종 14) 거제현을 사등성에서 고현성으로 옮기고 관하에 7면을 두었는데 이운면(二運面)이라 개칭하고 권농관(勸農官)이 집정하였다. 1769년(영조 45) 방리(坊里) 개편으로 아주방(鵝洲坊)이라 하였는데 1889년(고종 26) 상아(上鵝)와 하아리(下鵝里)로 나뉘었으나 1915년 6월 1일 아주리(鵝洲里)로 되었으며 1942년 5월 1일 부락구제(部落區制)로 장기(場基), 탑곡(塔谷), 내곡(內谷), 용소(龍沼)의 4구(區)를 1969년 5월 15일 전래의 고유지명으로 바꾸었는데 1989년 1월 1日일 장승포시(長承浦市) 설치에 따라 아양리(鵝陽里)와 아주리(鵝洲里) 지역을 아주동(鵝州洞)으로 되었다. 현재 경상남도 거제시 장승포읍 지역이다. 아주(鵝洲)는 용소(龍沼)의 늪에 거위가 서식하여 이름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아주신씨는
1985년에는 6,338가구 26,297명, 2000년에는 8,807가구 27,84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3,710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