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영해신씨(寧海申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후(申○,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22년(1696) 식년시 병과(丙科)
신대원(申大元, 1777 丁酉生) : 문과(文科) 순조28년(1828) 식년시 병과(丙科)
신용연(申用淵, 1759 己卯生) : 문과(文科) 순조3년(1803) 별시 병과(丙科)
신즙(申楫, 1580 庚辰生) : 문과(文科) 선조39년(1606) 식년시 병과(丙科)
신유한(申維翰, 1681 辛酉生) : 문과(文科) 숙종39년(1713) 증광시 병과(丙科)
신부(申溥, 1764 甲申生) : 문과(文科) 정조11년(1787) 정시 병과(丙科)
신민(申敏, 1614 甲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신종부(申從溥) : 무과(武科) 중종35년(1540) 식년시 병과(丙科)
신유한(申維翰, 1681 辛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1년(1705) 증광시 이등(二等)
신필영(申弼永, 1806 丙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헌종1년(1835)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2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9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영덕
영해(寧海)는 경상북도 동북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일찍이 고구려의 야시홀(也尸忽)과 우시국(于尸國)이 있었다. 79년(신라 탈해왕 23)에 신라가 병합하여 757년(경덕왕 16)에 우시국을 유린군(有隣郡)으로, 야시홀을 야성군(野城郡)으로 바꾸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영덕(盈德)과 예주(禮州)로 개칭하였으며, 1018년(현종 9)에 예주(禮州)에 병합되었다가 후에 다시 분리시켜서 현령(縣令)을 두었다. 1258년(고종 45)에 예주가 덕원소도호부로 승격하였고 1310년(충선왕 2)에는 영해부로 개편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영해도호부(寧海都護府)가 설치되었고 1415년 지현사(知縣事)를 두었다가 현령(縣令)이 파견 되어 조선시대 동안 명맥이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영덕과 영해현은 안동부로 이관되었다가, 이듬해 경상북도로 관할이 변경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영해군이 폐지되고 영해면으로 축소되어 영덕군에 통합되었고, 1979년에 영덕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영덕군의 관할구역은 영덕읍·강구면·남정면·달산면·지품면·축산면·영해면·병곡면·창수면 등 1읍 8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해신씨는
1985년에는 86가구 365명, 2000년에는 156가구 52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04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