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평산신씨(平山申氏)
유래
시조 : 신숭겸(申崇謙)
시조 신숭겸(申崇謙)의 원래이름은 삼능산(三能山)이며 전라도 곡성에서 태어났다. 그는 궁예가 세운 나라인 태봉의 기장으로 있다가 궁예가 왕위에 즉위한지 몇년만에 처자식을 살해하고 백성을 혹사하는 등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당시 동료 기장이었던 복지겸, 배현경, 홍유 등과 함께 궁예를 추출하기로 하고 왕건에게 왕창근, 송합홍 등 점술가의 예언을 설명하면서 거사를 권하여 왕건을 고려 태조로 옹립한 개국원훈대장군으로 '고려사'에 고려 개국 4공신의 한 사람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루는 왕건이 장군들과 평주(평산)에 사냥을 나가는 도중에 기러기 세마리가 날아가는 것을 보고 "누가 저 기러기를 쏘아서 맞힐 수있는가?" 하고 물으니 신숭겸이 자신이 맞추겠다고 하며 "몇번째 기러기를 맞출까요?" 하며 물어보자 세째 기러기 왼쪽 날개를 맞추라고 하자 날아가는 세번째 기러기의 왼쪽날개를 맞추어서 떨어뜨렸다. 태조가 탄복하고 근처 땅 300결을 하사하고 함께 본관을 평산으로 삼게했다. 927년(태조 10년) 대구 공산동 전투에서 견훤에게 포위되어 전세가 위급하자 태조와 용모가 비슷한 그는 태조를 피신케하고 대신 어차를 타고 출전하여 전사 하였다. 그래서 태조는 그의 유해를 춘천에 예를 올려 장사지내고 공신으로 추봉하고 시호를 장절이라고 했다. 1120년(고려 예종 15년) 예종이 신숭겸과 김락을 추모하여 '도이장가'를 지었다. - 묘소는 강원도 춘성군 서면 방동리에 있고 음력 3월 3일과 9월 9일에 향사한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계화(申啓華) : 문과(文科) 숙종12년(168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익(申○, 1728 戊申生) : 문과(文科) 영조35년(1759)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대승(申大升, 1731 辛亥生) : 문과(文科) 영조46년(1770)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봉조(申鳳朝, 1745 乙丑生) : 문과(文科) 정조19년(1795)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영(申瑛, 1499 己未生) : 문과(文科) 중종18년(1523)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수(申○, 1693 癸酉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사찬(申思贊, 1738 戊午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헌조(申獻朝, 1752 壬申生) : 문과(文科) 정조13년(1789)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엄(申○, 1734 甲寅生) : 문과(文科) 정조6년(178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효(申曉) : 문과(文科) 태종2년(1402)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등 모두 83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78명, 무과 90명, 생원진사시 560명, 역과 5명, 의과 2명, 음양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평산
평산(平山)은 황해도 남동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평주(平州)의 다른 이름이다. 고구려 때에는 대곡군(大谷郡) 또는 다지실(多知悉)이라 하였으며, 747년(신라 경덕왕 6) 대곡성을 설치하였고, 757년(경덕왕 16)엔 영풍군으로 명칭을 바꾸었다. 783년(선덕여왕 4)에는 진(鎭)을 두고 한주(漢州)에 예속시켰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명칭을 평주로 바꾸었고, 성종 때 방어사(防禦使), 현종 때는 지주사(知州事)를 두었다. 1272년(원종 13)엔 복흥군(復興郡) 즉 배천(白川)에 잠시 예속되었다가 충렬왕 때 다시 복구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평산으로 바꾸고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산군으로 개편하였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남서부의 일부를 연백군에 이속시켰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산신씨는
1985년에는 110,558가구 460,238명, 2000년에는 154,612가구 496,87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63,37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