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영산신씨(靈山辛氏, 영월)
유래
신씨는 원래 중국의 성씨로 당나라 사람 신시랑과 엄시랑(영월엄씨의 시조로 엄임의라고도 한다)이 사신으로 신라 35대 경덕왕때 우리나라에 파락사라는 사신으로 들어와서 그대로 머물러 살면서 엄씨와는 서로 종씨라 부르며 혼인도 하지 않고 의좋게 살았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름과 후대를 알수가 없어서 고려 인종때 금자광록 문하시중 평장사를 지냈던 신경(辛鏡, 시호는 정의)을 1세 조상으로 하고 있다. 본관은 중간에 영산, 영월로 분관이 되었는데 최근에 발견한 신경의 4세손인 신몽삼의 묘비에 "태사공영주신지묘"라고 되어 있어서 원래는 영주신씨였음을 알게되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명철(辛命喆,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영조26년(1750) 별시 을과(乙科)
신계영(辛啓榮, 1577 丁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11년(1619) 알성시 병과(丙科) 신철구(辛哲求, 1832 壬辰生) : 문과(文科) 고종7년(1870) 별시 병과(丙科) 신맹경(辛孟卿) : 문과(文科) 연산군12년(1506) 별시 정과(丁科) 신희정(辛熙貞) : 문과(文科) 연산군12년(1506) 별시 을과(乙科) 신수채(辛受采, 174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47년(1771) 식년시 병과(丙科) 신사형(辛士衡) : 문과(文科) 중종32년(1537) 식년시 병과(丙科) 신석림(辛碩林, 1766 丙戌生) : 문과(文科) 정조22년(1798) 식년시 병과(丙科) 신술(辛述, 1578 戊寅生) : 문과(文科) 인조17년(1639) 식년시 병과(丙科) 신련(辛璉) : 문과(文科) 명종4년(1549)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2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9명, 무과 27명, 생원진사시 67명, 의과 1명, 음양과 1명) 항렬자
영산신씨 1
영산신씨 2
영월신씨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창녕
영산(靈山)은 경상남도 창녕군(昌寧郡) 영산면 일대의 옛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서화현(西火縣)이라 불리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상약(尙藥)으로 바뀌어 밀성군(密城郡: 密陽)의 영현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영산현으로 개칭하고, 밀성군으로 병합하였다가 1274년(원종 15)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394년(태조 3)에는 계성현(桂城縣)을 병합하였고, 조선시대까지 명맥이 이어졌다. 취산(鷲山)·취성(鷲城)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6년(고종 33) 경상남도 영산군이 되었다가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영산군이 폐지되고 일부 면은 함안군에 편입되었고, 읍내면이 영산면으로 개칭되어 나머지 6개 면과 함께 창녕군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산신씨는
1985년에는 13,640가구 56,302명, 2000년에는 26,274가구 83,79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8,759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