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영월신씨(寧越辛氏, 영산)
유래
시조 : 신경(辛鏡)
- 영산신씨와 같은 성씨이다. 영산신씨 참고.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신희계(辛喜季) : 문과(文科) 인조14년(163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계거(辛季○) : 문과(文科) 성종8년(1477)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신응시(辛應時,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명종14년(1559) 정시 병과(丙科) 신함(辛涵, 1800 庚申生) : 문과(文科) 순조27년(1827) 정시 병과(丙科) 신중거(辛仲○)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정과(丁科) 신홍립(辛弘立, 1558 戊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4년(1612) 증광시 을과(乙科) 신성묵(辛成默, 1850 庚戌生) : 문과(文科) 고종27년(1890) 별시 을과(乙科) 신응시(辛應時, 1532 壬辰生) : 문과(文科) 명종21년(1566) 중시 병과(丙科) 신필형(辛必馨, 1645 乙酉生) : 문과(文科) 숙종1년(1675) 식년시 병과(丙科) 신경연(辛慶衍, 1570 庚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5년(1613) 증광시 을과(乙科) 등 모두 8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8명, 무과 12명, 생원진사시 51명, 의과 5명, 율과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영월
영월(寧越)은 강원도 남부에 위치한 영월군 일대의 지명으로 고구려 때는 내생군(奈生郡)이라 불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내성군(奈城郡)으로 바꾸고, 자춘현(子春縣: 永春)·백오현(白烏縣: 平昌)·주천현(酒泉縣) 등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영월로 개칭했고, 1018년(현종 9)에 원주의 속현으로 병합되었다. 1372년(공민왕 21)에는 영월군으로 승격하였다. 1698년(숙종 24)에 이 고장 청령포(淸怜浦)에 단종(端宗)이 유배되었다가 죽음을 당한 곳이라 해서 노산군(魯山君)을 단종으로, 능을 장릉(莊陵)으로 추존함에 따라 영월군도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영월군이 되었고, 1986년에는 강원도 영월군이 되었다. 1937년에 군내면이 영월면으로 개칭되었고, 1960년에는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영월신씨는
1985년에는 11,963가구 49,681명, 2000년에는 20,902가구 67,48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4,90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