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삼척심씨(三陟沈氏)
    유래
     시조 : 심동노(沈東老)
    시조 심동노의 선조는 고려 숙종때에 좌승선과 군기소감을 지낸 심후와 문림랑과 군기주부를 지낸 심적충 등으로 그들이 삼척에서 대대로 살았으나 기록이 없어졌다. 그들의 후손인 심동노가 고려 때에 예부판서 집현전학사를 역임하고 진주(삼척)군에 봉해졌으며 본관을 삼척으로 하게 하였다.

    - 묘는 강원도 명주군 묵호읍 발한리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심희전(沈希佺)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심언경(沈彦慶)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별시 병과(丙科)
     심가보(沈家甫) : 문과(文科) 세조14년(1468) 춘당대시 병과(丙科)
     심보영(沈普永, 1743 癸亥生) : 문과(文科) 정조18년(1794) 정시 병과(丙科)
     심준(沈濬) : 문과(文科) 성종20년(1489) 식년시 병과(丙科)
     심언광(沈彦光, 1487 丁未生) : 문과(文科) 중종8년(1513) 식년시 을과(乙科)
     심산보(沈山甫)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증광시 정과(丁科)
     심득(沈得, 1547 丁未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을과(乙科)
     심응협(沈應俠, 1640 庚辰生) : 무과(武科) 현종7년(1666) 별시 병과(丙科)
     심준(沈濬)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성종17년(1486) 식년시
    등 모두 2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0世
    탁(鐸)
    진(鎭)
    21世
    수(洙)
    영(永)
    22世
    상(相)
    동(東)
    23世
    섭(燮)
    희(熙)
    24世
    재(在)
    교(敎)
    재(載)
    준(埈)
    25世
    석(錫)
    종(鍾)
    용(鎔)
    현(鉉)
    26世
    원(源)
    락(洛)
    영(永)
    구(求)
    27世
    식(植)
    주(柱)
    근(根)
    래(來)
    28世
    병(炳)
    형(炯)
    연(然)
    희(熙)
    29世
    균(均)
    배(培)
    기(基)
    곤(坤)
    30世
    흠(欽)
    호(鎬)
    전(銓)
    선(善)
    31世
    -
    32世
    -
    33世
    -
    34世
    -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1世孫은 2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강원도 삼척
    삼척(三陟)은 강원도 삼척시 일원의 옛 지명으로 진한의 실직국(悉直國)이 있던 지역이다. 102년(신라 파사왕 23) 신라에 합병되어 만약(滿若) 또는 파리(波利)로 불리었다. 505년(지증왕 6)에 실직주(悉直州)라 하였고, 639년(진덕여왕 8) 진주(眞珠)로 고쳤다가 757년(경덕왕 16)에는 삼척군으로 개칭하여 명주도독부(溟州都督府: 江陵) 관하에 두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척주(陟州)라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는 삼척현으로 강등되어 동계(東界)에 속하였다가 1377년(우왕 3)에 다시 삼척군으로 승격되었다. 1393년(태조 2) 삼척부로 승격되었고,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가 설치되어 조선시대 동안 명맥이 이어졌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강릉부 삼척군이 되었고, 1896년 강원도 삼척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말곡면이 부내면으로 폐합되었다가 1917년 부내면이 삼척면으로 개칭되었다. 1980년에 삼척군 북평읍과 명주군 묵호읍이 통합되어 동해시로, 1981년 장성읍과 황지읍이 통합되어 태백시로 각각 승격되어 분리되었다. 1986년에는 삼척읍이 시로 승격되어 분리되었다. 1995년 삼척군이 삼척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삼척심씨는
    1985년에는 3,947가구 16,682명, 2000년에는 4,003가구 12,36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7,03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