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광주안씨(廣州安氏)
    유래
     시조 : 안방걸(安邦傑)
    시조 안방걸(安邦傑)은 고려 태조 왕건이 삼국을 통일하는 시기에 광주지방의 향리(鄕吏)로 광주지방의 안정에 공적이 있어 대장군(大將軍)이 되었고 시조가 광주를 생활근거로 하여 거주하였으므로 본관을 광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안욱(安旭, 1564 甲子生) : 문과(文科) 선조35년(1602)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안종록(安宗祿, 1566 丙寅生) : 문과(文科) 선조29년(1596)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안대진(安大進, 1561 辛酉生) : 문과(文科) 선조19년(1586) 중시 병과(丙科)
     안헌징(安獻徵, 1600 庚子生) : 문과(文科) 광해군13년(1621) 정시 을과(乙科)
     안주(安宙, 1495 乙卯生) : 문과(文科) 중종23년(1528) 식년시 을과(乙科)
     안후석(安后奭, 1683 癸亥生) : 문과(文科) 영조2년(1726) 식년시 병과(丙科)
     안효철(安孝轍, 1855 乙卯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 병과(丙科)
     안한영(安漢英)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증광시 병과(丙科)
     안우(安宇) : 문과(文科) 중종19년(1524) 별시 병과(丙科)
     안구(安○) : 문과(文科) 성종25년(1494)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6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5명, 무과 11명, 생원진사시 10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족보발간
    - 무오보(戊午譜, 1738)
    - 기사보(己巳譜, 1749)
    - 경술보(庚戌譜, 1790)
    - 병인보(丙寅譜, 1806)
    - 임술보(壬戌譜, 1922)
    - 정유보(丁酉譜, 1957)
    - 계해보(癸亥譜, 1983) : 대동보
    - 서령공파보(1999) : 국한문판
    항렬자
    41世
    현(鉉)
    42世
    영(永)
    43世
    근(根)
    44世
    광(光)
    45世
    균(均)
    46世
    진(鎭)
    47世
    준(濬)
    영(永)
    48世
    동(東)
    49世
    섭(燮)
    50世
    규(奎)
    51世
    석(錫)
    52世
    순(淳)
    53世
    영(榮)
    54世
    훈(勳)
    현(顯)
    55世
    찬(瓚)
    규(圭)
    56世
    용(鎔)
    57世
    한(漢)
    58世
    상(相)
    59世
    우(愚)
    열(烈)
    60世
    치(致)
    61世
    용(鏞)
    찬(瓚)
    규(圭)
    62世
    용(鎔)
    63世
    한(漢)
    64世
    상(相)
    65世
    우(愚)
    열(烈)
    66世
    치(致)
    67世
    용(鏞)
    68世
    -
    69世
    -
    7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42世孫은 4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광주
    광주(廣州)는 서울 남부일대와 경기도 중부를 통칭하는 옛 지명으로 13년(백제 온조왕 13) 하남위례성(河南慰禮城)이라 불리어졌으며, 371년(근초고왕 25)까지 이곳을 한성(漢城)이라 하여 376년간 백제의 도읍이었다. 553년(성왕 31) 신라에게 땅을 빼앗겨 신라의 한산주(漢山州)가 되었다가 756년(신라 경덕왕 15) 한주(漢州)로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광주로 고치고, 983년(성종 2) 광주목이 되었다. 995년(성종 14) 12절도사를 둘 때 봉국군절도사(奉國軍節度使)로 고쳐 관내도에 예속시켰다. 1012년(현종 3)에는 안무사(按撫使)로 고쳤으며 1018년 목사를 두었다. 1395년(태조 4) 광주목으로 경기좌도에 편입되었다. 1505년(연산군 15) 주를 폐하였다가 1618년(광해군 10)에 광주부로 승격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광주군이 되었다. 1979년 광주면이 읍으로 승격한 이후 1989년 동부읍과 서부면이 하남시로 통합, 독립하는 등 규모는 축소되었다. 2001년 광주군이 광주시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광주안씨는
    1985년에는 12,500가구 53,523명, 2000년에는 13,517가구 43,60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8,033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 광주안씨는 죽산안씨대동보에 중국에서 들어온 후 안씨 성을 받았다는 기록과 죽산안씨와의 관계를 인정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