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죽산안씨(竹山安氏) - 신
    유래
     시조 : 안원형(安元衡)
    시조 안원형(安元衡, 시호는 문혜)의 자는 경보(敬甫), 호는 일호(一湖)이며 안자미(순흥안씨의 시조)의 7세손이다. 그는 1341년(고려 충혜왕 2년) 문과에 급제하여 밀직사사(密直司使),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정당문학(政堂文學),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보국문하시중(輔國門下侍中), 평장사(平章事)를 지냈다. 후에 좌명공신(佐命功臣)에 올라 죽성군(竹城君)에 봉해졌다. 그래서 후손들이 순흥안씨에서 본관을 나누어 본관을 죽산(신)이라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안광우(安光宇, 1753 癸酉生) : 문과(文科) 순조2년(180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안축(安○) : 문과(文科) 중종37년(1542) 정시 을과(乙科)
     안신손(安信孫) : 문과(文科) 단종1년(1453) 식년시 정과(丁科)
     안준유(安俊孺, 1651 辛卯生) : 문과(文科) 숙종13년(1687) 식년시 병과(丙科)
     안세호(安世豪)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식년시 병과(丙科)
     안진(安縝, 1617 丁巳生) : 문과(文科) 효종3년(1652) 증광시 병과(丙科)
     안초(安○, 1420 庚子生) : 문과(文科) 세종29년(1447) 친시 정과(丁科)
     안여지(安汝止, 1628 戊辰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식년시 병과(丙科)
     안철손(安哲孫) : 문과(文科) 세종23년(1441) 식년시 정과(丁科)
     안절(安節,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22년(1696)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0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1명, 무과 31명, 생원진사시 120명, 역과 7명, 의과 4명, 음양과 1명, 율과 4명)
  • ※ 과거급제자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경기도 용인군 수지면
     전라북도 고창군 고수면
     황해도 연백군 도촌면 지산리
     경기도 양주, 화성, 안성
     전라북도 부안군 줄포면
     충청북도 괴산군 증평읍
     전라남도 보성, 장흥, 함평군
    항렬자
    21世
    규(圭)
    기(基)
    22世
    종(鍾)
    용(鎔)
    23世
    순(淳)
    태(泰)
    24世
    병(秉)
    주(柱)
    25世
    섭(燮)
    열(烈)
    26世
    재(在)
    교(敎)
    27世
    진(鎭)
    현(鉉)
    28世
    영(泳)
    제( ?)
    29世
    래(來)
    영(榮)
    30世
    찬(燦)
    형(炯)
    31世
    철(喆)
    배(培)
    32世
    탁(鐸)
    수(銖)
    33世
    락(洛)
    호(浩)
    34世
    동(東)
    병(炳)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안성
    죽산(竹山)은 경기도 용인시(龍仁市)과 안성시(安城市) 일부에 속해있던 옛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개차산군(皆次山郡)이었는데,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개산군(介山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죽주(竹州)로 고치고, 995년(성종 14)에 단련사(團練使)를 두어 음평(陰平) 또는 연창(延昌)이라 하였으며, 현종 때 광주(廣州)로 속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죽산현(竹山縣)으로 개칭하여 감무(監務)를 두었고, 1543년(중종 38) 죽산도호부(竹山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죽산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기도에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원일면(遠一面)과 근삼면(近三面) 일부는 용인군(龍仁郡)에 합해지고, 나머지 지역은 안성군(安城郡)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죽산안씨(신)는
    1985년에는 685가구 3,100명, 2000년에는 2,407가구 7,66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
  • ※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를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