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토산고씨(兎山高氏)
    유래
     시조 : 고광인(高匡仁)
    시조 고광인(高匡仁)은 조선시대에 이조참판(吏曹參判)을 지냈다.
    그러나 전하는 문헌이 없어 본관의 유래, 시조의 사적 등은 알 수가 없다. 다만 제주고씨에서 분적되었다고 한다.

    - 현재는 제주고씨와 합본하여 '제주고씨 중앙종문회'를 만들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토산군
    토산(兎山)은 황해도 금천군(金川郡)과 신계군(新係郡)에 걸쳐 있었던 옛 지명이다. 백제와 고구려에 속해있던 때는 오사함달현(烏斯含達縣) 또는 월성현(月城縣)으로 불렸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 경덕왕이 토산(兎山)으로 고쳤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장단현(長湍縣)에 속하였다가, 1062년(문종 16) 개성(開城)의 직할이 되고, 예종 때 감무(監務)를 두었다. 1413년(태종 13) 현감(縣監)을 두어 황해도에 이속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토산군(兎山郡)으로 승격하였으며,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일부는 신계군(新溪郡)에 들어가고 나머지는 금천군(金川郡)에 편입되었다. 1952년에 금천군의 일부 지역을 독립시켜 토산군을 신설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토산고씨는
    1985년에는 2가구 6명, 2000년에는 53가구 17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