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당악양씨(唐岳楊氏)
    유래
    당악양씨(唐岳楊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양재창(楊再昌, 162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1년(1660) 식년시 삼등(三等)
     양점형(楊漸亨, 1597 丁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년(1624) 증광시 삼등(三等)
     양점형(楊漸亨, 1597 丁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년(1624) 증광시 삼등(三等)
     양덕록(楊德祿, 1553 癸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광해군2년(1610) 식년시 일등(一等)
     양의직(楊懿直, 155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24년(1591) 식년시 삼등(三等)
     양의시(楊懿時, 1587 丁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년(1624) 식년시 삼등(三等)
     양덕유(楊德裕, 1530 庚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15년(1582) 식년시 삼등(三等)
     양의원(楊懿元, 1590 庚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3년(1652) 증광시 삼등(三等)
     양현망(楊顯望)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4년(1663)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생원진사시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평안남도 중화
    당악(唐岳)은 평안남도 중화군(中和郡)과 강남군(江南郡) 일대의 옛 행정구역 이름이다. 고구려 때에는 가화압(加火押)이라 했고,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당악현으로 고쳤다. 고려 초기에는 서경에 딸린 지역으로 당악촌이라 불리우다가 1136년(인종 14) 중화현으로 고치고, 1322년(충숙왕 9) 중화군으로 승격하였다. 1592년(선조 25)에는 도호부로 승격하였고, 1896년(고종 33) 평안남도 중화군과 상원군이 되었다가 1914년 군면 폐합으로상원군이 중화군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당악양씨는
    1985년에는 0명, 2000년에는 1가구 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