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종어씨(咸從魚氏)
    유래
     시조 : 어화인(魚化仁)
    시조 어화인(魚化仁)은 중국 빙익현 사람으로 중국 남송 때 난을 피해 1195~1197년(고려 명종) 사이에 우리나라에 들어와서 귀화했으며 명종 때 인장동정을 지냈다. 그는 우리나라 강원도 강릉으로 들어와서 정착해 살았었으나 다시 평안남도 함종현(강서군)으로 이사해서 살면서 본관을 함종으로 하였고 다시 진주로 이사해서 살았다고 한다.
    인물
    - 어변갑(變甲) : 조선 세종 때의 명신으로 집현전 대제학에 이른 뒤 벼슬을 버리고 고향에 돌아가 노모를 봉양했다.
    - 어효첨(孝瞻) : 어변갑의 아들. 조선 전기의 거유(巨儒)로서 명망이 높았다.
    - 어세겸(世謙) : 어효첨의 아들. 조선 세조~연산군대에 걸쳐 각조의 판서를 두루 역임하고 양관대제학과 좌의정에 이르다.
    - 어세공(世恭) : 어효첨의 아들.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고 성종 때 호조, 병조, 형조, 공조 판서를 거쳐 우참찬에 이르렀다.
    - 어유봉(有鳳) : 어세공의 9대손. 함종어씨가 낳은 대표적 학자이다.
    - 어유구(有龜) : 어유봉의 아우. 경종의 국구이다.
    - 어유룡(有龍) : 어유구의 4촌 동생. 영조 때 대사간과 중추부지사를 지냈다.
    - 어석정(錫定) : 어유구의 아들. 정조 때 도승지와 도총관을 거쳐 공조판서를 역임하였다.
    - 어몽룡(夢龍) : 선조 때 화가로 매화 그림에 뛰어나 황집중(黃執中)의 포도 그림, 이정(李霆)의 대나무 그림과 더불어 3절로 불리었다.
    - 어영담(泳潭) : 임진왜란 때 이순신장군 휘하에서 옥포, 노량 해전 등에서 공을 세웠다.
    - 어재연(在淵) : 병인양요와 신미양요 때 공을 세우고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 어윤중(允中) : 구한말의 개화파이며 탁지부대신을 지내며 개화혁신정책을 추진했으나 아관파천 때 고향으로 가다가 난민에 의해 죽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어변갑(魚變甲, 1381 辛酉生) : 문과(文科) 태종8년(1408)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어유구(魚有龜, 1675 乙卯生) : 문과(文科) 숙종32년(1706) 별시 병과(丙科)
     어진익(魚震翼, 1625 乙丑生) : 문과(文科) 현종3년(1662) 정시 을과(乙科)
     어석령(魚錫齡, 1736 丙辰生) : 문과(文科) 영조41년(1765) 알성시 병과(丙科)
     어계선(魚季瑄, 1502 壬戌生) : 문과(文科) 중종35년(1540) 식년시 을과(乙科)
     어석정(魚錫定, 1731 辛亥生) : 문과(文科) 영조44년(1768) 식년시 을과(乙科)
     어석윤(魚錫胤, 1701 辛巳生) : 문과(文科) 영조16년(1740) 정시 을과(乙科)
     어사상(魚史商, 1656 丙申生) : 문과(文科) 숙종23년(1697) 정시 병과(丙科)
     어석광(魚錫光, 1742 壬戌生) : 문과(文科) 영조49년(1773) 증광시 병과(丙科)
     어윤중(魚允中, 1848 戊申生) : 문과(文科) 고종6년(1869)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8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4명, 무과 3명, 생원진사시 55명, 음양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6世
    명(命)○
    27世
    ○우(愚)
    28世
    윤(允)
    29世
    ○선(善)
    30世

    (삼수 변)
    31世
    수(秀)○
    32世
    ○경(慶)
    33世
    중(重)○
    ○규(奎)
    34世
    ○진(鎭)
    35世
    승(承)○
    36世
    ○동(東)
    37世
    병(丙)○
    38世
    ○균(均)
    39世
    종(鍾)○
    40世
    ○수(洙)
    41世
    식(植)○
    42世
    ○형(炯)
    43世
    준(埈)○
    44世
    ○현(鉉)
    45世
    원(源)○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평안남도 증산
    함종(咸從)은 평안남도 강서군(江西郡)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의 땅이었는데, 오랫 동안 황폐하였다. 고려 때 아선성(牙善城)을 설치하였고 후에 1018년(현종 9) 함종현으로 개편하였고 고려 후기에 원나라에 예속되었다가 충렬왕대에 다시 복구하고 함종현을 설치하여 조선시대에도 유지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가 1413년(태종 13) 현령(縣令)을 두었다. 1720년(경종 1) 부(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평양부 함종군이 되었고, 1896년에 평안남도 함종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강서군과 합하여 강서군과 용강군에 나누어 편입되었다. 지금은 강서군에 속한 함종면으로 남아 있다. 지역을 증산군(甑山郡)으로 이관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종어씨는
    1985년에는 2,687가구 10,952명, 2000년에는 4,158가구 13,32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74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