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성산(星山)은 성주(星州)의 옛 지명으로 성주여씨이다.
☞ 성주여씨 참고.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여규명(呂奎明, 1745 乙丑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병과(丙科)
여현주(呂顯周, 1697 丁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9년(1753) 식년시 삼등(三等)
여봉거(呂鳳擧, 1669 己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7년(1691) 증광시 삼등(三等)
여봉거(呂鳳擧, 1669 己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6년(1690) 증광시 삼등(三等)
여수징(呂壽徵, 162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3년(1662) 증광시 삼등(三等)
여성거(呂聖擧, 1649 己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7년(1681) 식년시 삼등(三等)
여이림(呂以臨, 166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5년(1699) 식년시 삼등(三等)
여이림(呂以臨, 166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25년(1699) 식년시 삼등(三等)
여교(呂○, 1610 庚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5년(1654) 식년시 삼등(三等)
여경(呂○, 1612 壬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17년(1639)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생원진사시 13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성주
성산(星山)은 경상북도 남서쪽에 위치한 성주(星州)의 옛 지명이다. 6가야연합국의 하나인 성산가야국(星山伽倻國)의 영토였다. 6세기 무렵 신라의 세력권에 들게 되어 벽진군(碧珍郡) 또는 본피현(本彼縣)이라 하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신안현(新安縣)으로 개칭하여 성산군(星山郡)에 속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경산부(京山府)로 승격하였다가 980년(경종 6)에 광평군(廣平郡)으로 강등하여 개칭되었다. 995년(성종 14) 대주(岱州)로 바뀌어 도단련사(都團練使)를 두었으며 1018년(현종 9)에는 다시 경산부로 환원되었다. 1295년(충렬왕 21)에 와서는 흥안도호부(興安都護府)를 두어 성주목(星州牧)으로 승격하였으나, 1310년(충선왕 2) 다시 경산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성주목으로 승격되었다가 이후 1616년(광해군 9)에는 신안군으로, 1631년(인조 1)에는 신안현으로 개칭되어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성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 때 관할면이 성주·벽진면 등 9개면으로 폐합되었고, 1979년에 성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성산여씨는
1985년에는 1,073가구 4,112명, 2000년에는 2,438가구 7,79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49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