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곡산연씨(谷山延氏)
    유래
     시조 : 연계령(延繼笭)
    시조 연계령은 중국 흥농 사람으로서 고려 때에 우리나라에 와서 문하시랑과 신호위상장군을 역임하였다. 11세손 연주가 고려 때 검교 한성부윤을 지내다가 조선 개국 후 태조가 여러차례 벼슬 할것을 원했으나 응하지 않자 후에 곡산군에 추봉되자 후손들이 본관을 곡산이라고 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연구령(延九齡) : 문과(文科) 중종2년(1507) 증광시 병과(丙科)
     연최적(延最績, 1663 癸卯生) : 문과(文科) 숙종8년(1682) 증광시 병과(丙科)
     연동헌(延東憲, 1744 甲子生) : 문과(文科) 영조51년(1775) 별시 병과(丙科)
     연초망(延楚望, 1653 癸巳生) : 무과(武科) 숙종15년(1689) 증광시 병과(丙科)
     연일립(延日立,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연응룡(延應龍, 1603 癸卯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연대징(延大澄, 1612 壬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연진길(延震吉, 1627 丁卯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연윤(延潤, 1617 丁巳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연명회(延明會, 178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25년(1825)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16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4世
    회(會)
    25世
    종(鍾)
    26世
    우(羽)
    27世
    병(秉)
    28世
    희(熙)
    29世
    규(圭)
    30世
    흠(欽)
    31世
    제(濟)
    32世
    모(模)
    33世
    응(應)
    34世
    기(基)
    균(均)
    35世
    호(鎬)
    용(鏞)
    36世
    영(永)
    택(澤)
    37世
    상(相)
    채(采)
    38世
    훈(勳)
    열(烈)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5世孫은 24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곡산
    곡산(谷山)은 황해북도 북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는 십곡성(十谷城)이라 불렸고, 748년(신라 경덕왕 7) 십곡성현(十谷城縣)으로 편성되었다가 757년에 진서현(鎭瑞縣)이라 개칭하여 영풍군(永豊郡)이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곡주(谷州)로 개편되고 995년(성종 14)에는 방어사(防禦使)를 두었다. 1393년(태조 2)에는 곡산으로 개칭하고 부(府)로 승격하였으나, 태종 때는 곡주(谷州)에서 다시 곡산군으로 격하하였다. 1669년(현종 10) 부로 승격되었으나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곡산군(谷山郡)이 되어 개성부(開城府)에 속하였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황해도로 편입 되었다. 별칭으로는 덕돈홀(德頓忽)·고곡(古谷)·곡성(谷城)·진서(鎭瑞)·상산(象山) 등으로 불리고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곡산연씨는
    1985년에는 6,332가구 27,144명, 2000년에는 7,480가구 25,0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3,891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