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곡부공씨(曲阜孔氏)
유래
시조 : 공자(孔子)
공씨는 중국의 곡부(산동성)를 본관으로 삼고 공자 탄생이래 그를 시조로하고 단일본으로 하여 계승해 왔다. 공자의 53세손 공완(孔浣)의 둘째 아들 공소(孔紹)가 1351년(충정왕3) 공민왕비인 노국대장공주(魯國大長公主)를 수행하여 고려에 들어와 귀화하였다. 그후 문하시랑 평장사(平章事)로 회원군(檜原君)에 봉해지고 본관을 창원공씨로 하여 우리나라 공씨의 중시조가 되었다. 그후 노국의 공씨와 같은 조상이다 하여 1794년에 다시 곡부를 본관으로하였다. 한편 '임자시월정원일기'에 의하면 1792년 10월 27일(정조16, 임자년) 좌의정 이하 여러 신하가 입시한 자리에서 정조가 전교하기를 고려 말기에 공자의 54세손 공소가 원나라의 노국공주를 수행하여 고려에 와서 귀화하였고, 그 후손인 공서린(孔瑞麟)이 태종 때 과거에 급제하여 태학사가 된 후 조광조(趙光祖) 등과 함께 기묘명현(己卯名賢)이 되었는데, 그의 9대손 공윤항(孔胤恒)이 경기도 용인군에 살고 있으니, 그들 자손에게는 세습제로 하여 녹용(祿用)하는 것이 어떠냐고 의논하여 주달하게 하였다. 여러 신하의 신중한 논의를 거쳐 왕의 전교대로 결정하고 공윤항의 맏아들 공영수(孔營洙)에게 녹과 벼슬을 주는 한편, 공씨의 본관을 곡부로 정하라고 명령한 사실 등의 기록이있다. 중시조의 묘소는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예곡동에 있고, 매년 음력 10월 1일에 향사하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공헌동(孔獻東, 1797 丁巳生) : 문과(文科) 헌종13년(1847) 별시 병과(丙科)
공유동(孔有東, 1814 甲戌生) : 문과(文科) 철종8년(1857) 정시 병과(丙科) 공윤항(孔胤恒, 1769 己丑生) : 문과(文科) 정조18년(1794) 춘당대시 병과(丙科) 공재범(孔在範, 1847 丁未生) : 문과(文科) 고종14년(1877) 별시 병과(丙科) 공수원(孔洙元, 1713 癸巳生) : 율과(律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공희문(孔熙門, 1772 壬辰生) : 율과(律科) 정조16년(1792) 식년시 공재덕(孔在德, 1799 己未生) : 율과(律科) 순조22년(1822) 식년시 () 공두식(孔斗○, 1761 辛巳生) : 율과(律科) 정조7년(1783) 증광시 () 공재욱(孔在郁, 1815 乙亥生) : 율과(律科) 헌종3년(1837) 식년시 () 공희로(孔熙魯, 1787 丁未生) : 율과(律科) 순조5년(1805) 증광시 () 등 모두 1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4명, 율과 1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중국(中國) 산동성(山東省)
곡부(曲阜)는 중국 산동성(山東省) 제령도(濟寧道)에 위치한 고을 이름으로 일찍이 주(周)나라 무왕(武王)의 아우 주공(周公) 단(旦)이 봉해진 지역이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곡부공씨는
1985년에는 16,511가구 68,956명, 2000년에는 22,758가구 73,09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9,33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