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보성오씨(寶城吳氏)
유래
시조 : 오현필(吳賢弼)
시조 오현필(자는 응남, 호는 성제)는 도시조 오첨의 24세손이다. 그는 1216년(고려 고종 3년)에 계단을 토평한 공으로 보성군에 봉해졌다. 그래서 본관을 보성으로 하였다. 보성 오씨에서 분관된 오씨는 4개의 본이 있는데 첫째 아들 오숙부와 둘째 아들 오양의 후손은 보성 오씨를 계승했으며, 셋째 아들 오원은 화순 오씨로, 넷째 아들 오광휘는 함양 오씨로 분관 했으며, 오현필의 둘째 아들 오양의 6세손 중권은 흥양 오씨로, 오현필의 6세손 오사염의 둘째 아들 오천우는 장흥으로 각각 분관하였다. - 오현필의 묘소는 충남 공주군 장기면 신관리 취리산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오대곤(吳大坤, 1734 甲寅生) : 문과(文科) 정조10년(1786) 식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오준근(吳濬根) : 문과(文科) 정조0년(177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오성근(吳聖根, 1743 癸亥生) : 문과(文科) 정조14년(1790) 별시 병과(丙科) 오몽량(吳夢樑) : 문과(文科) 중종31년(1536) 친시 병과(丙科) 오봉원(吳奉源, 1702 壬午生) : 문과(文科) 영조30년(1754) 함경도도과 병과(丙科) 오익환(吳翼煥) : 문과(文科) 정조10년(1786) 중시 을과(乙科) 오익환(吳翼煥, 1754 甲戌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증광시 병과(丙科) 오창(吳昶) : 문과(文科) 명종10년(1555) 식년시 병과(丙科) 오덕증(吳德曾, 1690 庚午生) : 문과(文科) 경종1년(1721) 식년시 병과(丙科) 오맹경(吳孟經) : 문과(文科) 문종1년(1451) 증광시 정과(丁科) 등 모두 10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8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71명) 항렬자
부위공파
양무공파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보성
보성(寶城)은 전라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한 보성군(寶城郡) 지역의 옛 지명으로 마한 54국 중 불운국(不雲國)이었다고 한다. 백제 때에는 복홀군(伏忽郡)이라 불리었고,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보성군(寶城郡)으로 개칭되어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고려 태조는 삼양군(三陽郡)이라 하였으며, 996년(성종 15)에 패주(貝州)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보성군(寶城郡)이 되었다. 1441년(세종 23)에 조양현(兆陽縣)과 복성현(福城縣)을 제외한 대부분의 속현이 흥양현으로 이속되어 면적이 크게 축소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보성군, 1896년에 전라남도 보성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권역이 다시 확대되었고 1941년에 보성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보성오씨는
1985년에는 12,342가구 52,544명, 2000년에는 18,229가구 59,91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1,16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