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평해오씨(平海吳氏)
    유래
     시조 : 오극중(吳克中)
    시조 오극중은 도시조 오첨의 24세손 오현보(해주 오씨의 시조)의 후손이라고 하나 그중간의 기록이 없어 확실하지는 않다. 오극중은 고려 때에 문하시중을 지내고 동지추밀원사에 추증 되었으므로 후손들이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을 평해로 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오시익(吳時益)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오상하(吳尙夏, 162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효종1년(1650) 증광시 삼등(三等)
     오희겸(吳喜謙, 1661 辛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3년(1687) 식년시 삼등(三等)
     오세규(吳世珪, 1650 庚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15년(1689) 증광시 삼등(三等)
     오도추(吳道樞, 1703 癸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26년(1750) 식년시 삼등(三等)
     오이건(吳以健, 1642 壬午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10년(1669) 식년시 삼등(三等)
     오도겸(吳道謙, 1705 乙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년(1727) 증광시 삼등(三等)
     오석규(吳錫圭, 186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7世
    원(元)
    8世
    용(鎔)
    9世
    호(浩)
    10世
    근(根)
    11世
    열(烈)
    12世
    재(在)
    13世
    현(鉉)
    14世
    태(泰)
    15世
    주(柱)
    16世
    병(炳)
    17世
    기(基)
    18世
    -
    19世
    -
    20世
    -
    21世
    -
    22世
    -
    23世
    -
    24世
    -
    25世
    -
    2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8世孫은 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울진
    평해(平海)는 경상북도 울진군(蔚珍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와 신라에 속했을 때의 근을어현(斤乙於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평해로 고쳐 유린군(有隣郡)의 영현으로 하였다. 고려 현종 때 예주(禮州)의 영현이 되었고, 1172년(명종 2)엔 지군사로 승격되었다. 1466년(세조 12)에 군으로 승격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울진군 평해면이 되었고, 1963년에는 울진군이 강원도에서 경상북도로 이관되었다. 1980년 평해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평해오씨는
    1985년에는 302가구 1,264명, 2000년에는 345가구 1,0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81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