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화순오씨(和順吳氏)
    유래
     시조 : 오원(吳元)
    시조 오원은 도시조 오첨의 24세손 오현필(보성 오씨의 시조)의 셋째 아들 이다. 오원의 후손들이 화순에서 대를 이어 살면서 본관을 화순으로 하였다. 오현필의 첫째 아들 오숙부와 둘째 아들 오양은 보성 오씨를 계승했으며, 넷째 아들 오광휘는 함양 오씨로 분관 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오상린(吳尙麟, 1710 庚寅生) : 문과(文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병과(丙科)
     오난금(吳難金,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오응립(吳應立,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오성유(吳聖兪, 1680 庚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1년(1715) 식년시 삼등(三等)
     오점(吳霑, 1764 甲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0년(1786) 식년시 삼등(三等)
     오태직(吳泰稷, 180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34년(1834) 식년시 삼등(三等)
    * 모두 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3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5世
    경(敬)
    26世
    병(秉)
    27世
    현(炫)
    28世
    재(在)
    29世
    종(鍾)
    30世
    영(永)
    31世
    식(植)
    32世
    형(炯)
    33世
    -
    34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6世孫은 25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
    화순(和順)은 전라남도에 화순군 일원의 옛 지명으로 백제 때 잉리아현(仍利阿縣)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여미현(汝湄縣)으로 개칭하였고, 능성군(綾城郡: 綾州)에서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화순현(和順縣)으로 바꾸어 1018년(현종 9)에 나주(羅州)에 속하였다가 후에 능성현(綾城縣)에 편입시켰고, 1390년(공양왕 2)에는 감무를 파견하여 남평현(南平縣)을 겸하여 관리하게 하였다. 1394년(태조 3)에 남평현을 분리하는 대신 동복현감(同福縣監)을 겸임시켰고, 1405년(태종 5) 동복현을 병합하여 1407년(태종 7) 복순현(福順縣)이라 고쳐서 칭하였다. 1416년(태종 16) 다시 동복현을 독립시키고 능성현(綾城縣)에 병합하여 순성현(順城縣)이라 칭하다가 1418년(태종 18)에 각각 복구하였다. 1594년(선조 27)에도 능성에 편입되었다가 1611년(광해군 3) 다시 화순현을 분리하였다. 1895년(고종 32)에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 화순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전라남도 화순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읍내면이 화순면으로 개칭되고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개편되면서 동복군을 흡수하였다. 1963년 화순면이 화순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화순오씨는
    1985년에는 664가구 2,888명, 2000년에는 948가구 3,032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3,95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