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의령옥씨(宜寧玉氏)
유래
시조 : 옥진서(玉眞瑞)
시조 옥진서(玉眞瑞)는 고구려의 요청으로 당나라에서 파견된 8학사 중의 한 사람이다. 그는 우리나라에 와서 국학의 교수가 되어 의춘(의령)군에 봉해지고 의령에 살면서 우리나라 옥씨의 시조가 되었다. 그러나 그후의 기록이 없어 고려 때 창정을 지낸 옥은종을 1세 조상으로 하고 본관을 의령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옥경련(玉景鍊, 1829 己丑生) : 문과(文科) 고종5년(1868) 별시 을과(乙科)
옥고(玉沽, 1382 壬戌生) : 문과(文科) 정종1년(1399)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옥병관(玉秉觀, 1831 辛卯生) : 문과(文科) 고종17년(1880) 증광시 병과(丙科) 옥세보(玉世寶, 1649 己丑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7년(1711) 식년시 삼등(三等) 옥재온(玉在溫, 1775 乙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1년(1801) 증광시 일등(一等) 옥치규(玉穉圭, 1766 丙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7년(1807) 식년시 삼등(三等) 옥이탁(玉以琢, 174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0년(1786) 식년시 삼등(三等) 옥진소(玉振韶, 167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41년(1715) 식년시 삼등(三等) 옥진함(玉振, 1687 丁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경종3년(1723)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생원진사시 6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의령
의령(宜寧)은 경상남도 중앙부의 낙동강 하류 서안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신라의 장함현(獐含縣)인데 757년(경덕왕 16)에 의령현으로 개칭하여 함안군의 영현을 삼았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진주(晉州)에 편입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 감무(監務)를가 파견되어 신번현(新繁縣)을 병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현으로 승격되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홍의장군 곽재우(郭再祐)가 최초로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친 곳으로 유명하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의령군으로 개칭되어 진주부 관할이 되었다가 1896년 경상남도(慶尙南道) 의령군이 되었다. 1979년에 의령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의령옥씨는
1985년에는 4,633가구 18,951명, 2000년에는 6,157가구 19,36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9,095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