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개성왕씨(開城王氏)
    유래
     시조 : 왕국조(王國祖)
    중국 황제 헌원씨의 17세손 조명이 유누와 함께 우리나라에 와서 지금의 평양 일토산 아래에 정착하였다. 그후 조명의 후손 수극이 기자가 왕이 되었을 때 왕씨 성을 하사 받았다. 그후 수극의 57세손 왕염의 13세손 왕몽으로 이어져 왔는데 왕몽은 신라 건국초기에 시중을 지냈다. 당시 비결에 '토초가위왕'이라 하였으므로 그 화가 미칠까 두려워 왕몽이 일곱째 아들 왕림(王琳)을 데리고 지리산에 들어가 10여년 동안 수도하면서 전, 신, 차씨 등으로 성을 바꾸었고 차무일이라고 이름을 바꾸었고 한다. 차무일의 셋째 아들 왕식시의 후손이 왕건이다.

    왕건(王建, 877~943)은 송악(개성) 사람으로 901년 궁예가 신라에 반기를 들고 후고구려를 세우고 왕이되었을 때 궁예를 도와 913년 시중이 되었다. 그러나 궁예가 왕위에 즉위한지 몇년만에 처자식을 살해하고 백성을 혹사하는 등 폭정이 날로 심해지자 당시 기장이었던 신숭겸, 배현경 , 유금필, 홍유 등이 왕건에게 왕창근, 송합홍 등 점술가의 예언을 설명하면서 거사를 권하여 궁예를 추출하고 왕건을 왕으로 추대하여 고려를 개국한 후 삼국을 통일하고 473년동안 번영을 누리게 되었다.
    그러나 이성계가 위화도 회군으로 조선을 개국하면서 멸족를 당하게 되자 옥(玉), 금(琴), 마(馬), 전(田), 전(全), 김(金)씨 등의 다른 성으로 행세하며 숨어 살면서 혈통을 유지하게 되었다. 그러다가 조선 정조 때에 비로소 문헌 등을 조사하여 왕씨로 다시 성을 바꾸어 세보를 만들고 왕건이 수도로 정한 송도(개성)을 본관으로 하고 왕원(王垣)을 1세 조상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낙랑공주(樂浪公主)왕감(王鑑)왕거(王昛)왕건(王建)왕경(王璥)
    왕경(王暻)왕경(王璥)왕고(王暠)왕교(王僑)왕규(王珪)
    왕균(王鈞)왕기(王基)왕담(王聃)왕도(王燾)왕동영(王同穎)
    왕득인(王得仁)왕륭(王隆)왕만(王卍)왕면(王沔)왕무(王武)
    왕보왕비왕서(王恕)왕서(王湑)왕서
    왕석(王奭)왕석기(王釋器)왕성순(王性淳)왕세경(王世慶)왕송(王訟)
    왕수(王燧)왕수(王琇)왕숙(王淑)왕숙(王璹)왕식렴(王式廉)
    왕영(王瑛)왕영(王瑛)왕영(王韺)왕온(王溫)왕옹(王顒)
    왕옹(王雍)왕요(王瑤)왕요(王堯)왕우(王俁)왕우(王瑀)
    왕우(王禑)왕욱(王旭)왕욱(王郁)왕욱(王昱)왕원(王源)
    왕유(王愉)왕유(王愉)왕윤왕의왕이보(王夷甫)
    왕자(王滋)왕장(王璋)왕저(王胝)왕전(王顓)왕전(王佺)
    왕전(王琠)왕정(王靖)왕정(王貞)왕정(王禎)왕정
    왕조(王祚)왕종(王琮)왕주(王伷)왕준(王綧)왕지(王祉)
    왕진(王稹)왕진(王縝)왕징왕창(王昌)왕철(王㬚)
    왕충(王冲)왕치(王治)왕태왕필(王佖)왕해(王楷)
    왕향(王珦)왕현(王晛)왕형(王亨)왕혜왕호(王晧)
    왕화(王和)왕화(王和)왕환(王環)왕효왕후
    왕후(王煦)왕훈(王勳)왕휘(王徽)왕흔(王昕)왕흠(王欽)
    왕희(王僖)왕희걸(王希傑)문정왕후(文貞王后)강종(康宗)공화후(恭化侯)
    광종(光宗)광평공(廣平公)광평후(廣平侯)선종(宣宗)신종(神宗)
    안경공(安慶公)왕독타불화(王篤朶不花)왕신(王信)원장태자(元莊太子)원종(元宗)
    의성부원대군(義城府院大君)장녕공주(長寧公主)적경궁주(積慶宮主)정비(靜妃)정의왕후(貞懿王后)
    종린(宗璘)지인(之印)현종(顯宗)효령태자(孝靈太子)효은태자(孝隱太子)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왕성협(王性協, 1850 庚戌生) : 문과(文科) 고종9년(187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왕정양(王庭楊, 1824 甲申生) : 문과(文科) 고종3년(1866) 별시3 을과(乙科)
     왕보신(王輔臣, 1568 戊辰生) : 문과(文科) 광해군5년(1613) 증광시 병과(丙科)
     왕성순(王性淳, 1868 戊辰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 병과(丙科)
     왕경우(王景祐, 1556 丙辰生) : 문과(文科) 선조38년(1605) 정시 병과(丙科)
     왕희걸(王希傑) : 문과(文科) 중종38년(1543) 식년시 병과(丙科)
     왕옥(王玉, 1547 丁未生) : 문과(文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왕중경(王重慶, 1550 庚戌生) : 무과(武科) 선조17년(1584) 별시 병과(丙科)
     왕희집(王熙緝, 1751 辛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0년(1786) 식년시 삼등(三等)
     왕경우(王景祐, 155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36년(1603) 식년시 이등(二等)
    등 모두 3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7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6명, 의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2世
    상(相)
    동(東)
    주(柱)
    춘(椿)
    33世
    환(煥)
    희(熙)
    현(炫)
    섭(燮)
    34世
    규(奎)
    충(忠)
    은(垠)
    성(城)
    35世
    옥(鈺)
    은(銀)
    록(錄)
    순(錞)
    36世
    치(治)
    한(漢)
    태(泰)
    영(泳)
    37世
    표(杓)
    근(根)
    환(桓)
    모(模)
    38世
    병(炳)
    준(焌)
    형(炯)
    연(然)
    39世
    기(基)
    배(培)
    균(均)
    준(埈)
    40世
    종(鍾)
    호(鎬)
    탁(鐸)
    수(銖)
    41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3世孫은 32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개성특급시
    개성(開城)은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한 지명으로 현재 개성직할시가 되었다. 본래 고려의 수도였으며, 그 이전까지 송악군(松嶽郡)·송도(松都)·개경(開京)·부소갑(扶蘇岬)·동비홀(冬比忽)·촉막군(蜀莫郡) 등으로 불리었다. 고구려 때에는 부소갑(扶蘇岬)이라 했으며, 465년(백제 개로왕 11)에는 100년 동안 백제 영토였다. 555년(신라 진흥왕 16)에 신라가 점령한 이후 송악군(松嶽郡)으로 개칭되었고, 898년(효공왕 2)에 궁예가 잠시 태봉의 도읍으로 삼기도 하였다. 919년(고려 태조 2) 1월 수도를 철원(鐵原)에서 송악산(松嶽山) 남쪽으로 옮긴 후 개풍군과 송악을 합쳐 개주(開州)라 불렀고 5부를 설치하였다. 960년(광종 11)에는 개경(開京)으로, 995년(성종 14)에는 개성부(開城府)로 개칭하였다. 조선이 개국하여 한양으로 도읍을 옮긴 이후 1467년(세조 13)에 개성부로 경기도에 편입되어 개성부윤(開城府尹)이 부임해 오다가 1906년 개성군으로 개편되었다. 1949년 시제(市制) 실시에 따라 개성시가 되었고, 1954년 10월 개풍군과 판문군(板門郡)이 황해북도에 편입되었다. 1955년 개성시와 황해북도 개풍군·판문군이 통합되어 개성직할시로 승격되었으며, 1961년 3월 황해북도 장풍군에 강원도 철원군 일부를 편입시키면서 개성직할시의 관할이 되었다. 2004년 1월 개성직할시를 황해북도 개성특급시(開城特級市)로 바꿨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개성왕씨는
    1985년에는 4,456가구 18,775명, 2000년에는 6,148가구 19,808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2,452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