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단양우씨(丹陽禹氏)
유래
시조 : 우현(禹玄)
시조 우현은 중국 하나라 우왕의 후손이라고 한다. 우현이 고려 때 우리나라에 와서 단양에서 살면서 1014년(고려 현종 5년) 진사로 문과에 급제하여 정조호장을 지내고 문하시중평창사에 추증 되었다. 그의 10세손 우현보가 고려 공양왕 때 단양 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본관을 단양으로 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우제일(禹濟一, 1858 戊午生) : 문과(文科) 고종24년(1887)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우성전(禹性傳, 1542 壬寅生) : 문과(文科) 선조1년(1567) 증광시 병과(丙科) 우창적(禹昌績, 1623 癸亥生) : 문과(文科) 현종1년(1660) 증광시 을과(乙科) 우즙(禹楫) : 문과(文科) 성종18년(1487) 별시 삼등(三等) 우승범(禹承範) : 문과(文科) 태종8년(1408)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우유일(禹惟一, 1614 甲寅生) : 문과(文科) 인조24년(1646) 식년시 병과(丙科) 우계번(禹繼蕃) : 문과(文科) 세종20년(1438) 식년시 정과(丁科) 우경한(禹景漢, 1704 甲申生) : 문과(文科) 영조15년(1739) 정시 병과(丙科) 우천기(禹天機, 1536 丙申生) : 문과(文科) 명종16년(1561) 식년시 병과(丙科) 우세준(禹世準, 167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1년(1725)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19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2명, 무과 30명, 생원진사시 132명, 율과 2명) 족보발간
단양우씨 예안본(禮安本) : 1600년(선조 33) 우탁(禹倬)의 후손 우성적(禹成績) 등이 역동서원(易東書院) 소재지인 예안에서 목판본으로 발간한 단양우씨족보의 초간본이다.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단양
단양(丹陽)은 충청북도 단양군 지역의 옛 행정구역명으로 고구려의 적산현(赤山縣) 혹은 적성현(赤城縣) 일대였다. 단양은 삼국시대에 삼국이 각축을 벌였던 지역으로, 551년(신라 진흥왕 12)에 백제와 신라의 공동작전으로 신라의 영토가 되어 진흥왕이 순시할 때 세운 적성비가 남아 있다. 757년(경덕왕 16)에 내제군(奈提郡: 堤川)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단산현(丹山縣)으로 이름을 바꾸고 1018년(현종 9)에 원주(原州)에 속하였다가 뒤에 충주(忠州)의 속현이 되었다. 1291년(충렬왕 17) 감무(監務)를 두면서 독립하였고, 1318년(충숙왕 5)에 단양으로 개칭하여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군(郡)이 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忠州府)의 관할하에 들어갔다가,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영춘군(永春郡)을 병합하여 단양군이 되었다. 1979년에 단양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단양우씨는
1985년에는 36,708가구 152,311명, 2000년에는 50,789가구 162,47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91,287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