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비옥원씨(比屋袁氏, 비안)
    유래
     시조 : 원뢰보(袁賚輔)
    원씨(袁氏)는 중국(中國) 여남(汝南)에서 나온 성씨로 진(陣) 나라 공자(公子) 원도도(轅塗濤)의 후손이다. 원래는 轅(원)씨 였는데 車를 떼어버리고 袁으로 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 원씨는 비옥(비안) 단본으로 시조는 원뢰보(袁賚輔)이다. 그러나 시조가 원뢰보라는것 이외에 알려진것이 아무것도 없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비옥(比屋)은 경상북도 의성군(義城郡) 비안면 일대의 옛 지명으로 비옥(比屋)과 안정(安貞) 2개현을 합명하여 비안면이 되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비옥현(比屋縣)으로 고쳐, 문소군(聞韶郡: 義城)의 영현을 삼았다. 한편 안정현(安貞縣)은 본래 신라의 아시혜현(阿尸兮縣)을 경덕왕이 안현현(安賢縣)으로 고쳤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안정현으로 개칭하여 비옥현과 더불어 상주목(尙州牧)의 관할이 되었다. 1421년(세종 3)에 안정현과 합하여 안비현(安比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1423년에 두 현을 합해서 비안현(比安縣)이라 하였다. 병산(幷山)이라는 별호가 있었다. 188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편으로 대구부 비안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경상북도 소속이 되었다. 그 후 1914년에는 군면 폐합으로 현서면(縣西面)은 예천군에 속하고, 나머지는 의성군에 병합되어 비안군은 폐지되고 의성군(義城郡) 비안면(比安面)으로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비옥원씨는
    1985년에는 50가구 216명, 2000년에는 43가구 14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