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장흥위씨(長興魏氏)
유래
시조 : 위경(魏鏡)
시조 위경은 중국 당나라 관서 홍농 사람으로 신라 선덕여왕이 당나라 태종에게 도예지사를 청하자 보내준 8학사 중의 한사람이다. 그는 신라에 들어와 벼슬이 아랑상서 시중에 이르렀으며 회주(장흥)군에 봉해지자 후손들이 본관을 장흥으로 하였다. 그러나 그후의 기록이 없어져서 신라 말에 대각관 시중을 지낸 위창주를 중시조로 하고 1세 조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위익원(魏翼源, 1846 丙午生) : 문과(文科) 고종17년(1880) 별시2 갑과(甲科) 장원급제
위종겸(魏鍾謙, 1854 甲寅生) : 문과(文科) 고종12년(1875) 별시 병과(丙科) 위종선(魏鍾善, 1789 己酉生) : 문과(文科) 헌종4년(1838) 함경도도과 을과(乙科) 위흥조(魏興祖, 1719 己亥生) : 문과(文科) 영조22년(1746) 별시2 병과(丙科) 위창조(魏昌祖, 1703 癸未生) : 문과(文科) 영조7년(1731) 별시 을과(乙科) 위정상(魏定相, 1634 甲戌生) : 문과(文科) 현종5년(1664) 별시 을과(乙科) 위광조(魏光肇, 1747 丁卯生) : 문과(文科) 정조19년(1795) 춘당대시 병과(丙科) 위적철(魏迪喆, 1766 丙戌生) : 문과(文科) 순조27년(1827) 증광시 을과(乙科) 위영조(魏榮祖, 1697 丁丑生) : 문과(文科) 숙종43년(1717) 별시 병과(丙科) 위치량(魏致亮, 1710 庚寅生) : 문과(文科) 영조17년(1741)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5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2명, 무과 12명, 생원진사시 27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장흥
장흥(長興)은 전라남도의 남쪽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원래는 백제의 오차현(烏次縣)이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오아(烏兒)로 개칭되어 보성군에 속하였다. 고려 초에 정안현(定安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현종 때에 장흥부(長興府)로 승격되었다. 1265년(원종 6)에 다시 회주목(懷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장흥부로 강등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수령현의 중령산에 성을 쌓고 중심지로 했으며, 1413년(태종 13)에 장흥도호부로 승격되었고 1652년(효종 3) 장흥현으로 강등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장흥군이 되었고, 1896년 전라남도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웅치(熊峙)·회천(會泉) 2개면이 보성군에 이관되었으며, 1936년 부동면(府東面)을 장흥면으로 개칭하고, 남상(南上)·남하(南下) 양면을 용산면(蓉山面)으로, 고읍면(古邑面)을 관산면(冠山面)으로 개칭하였다. 1942년 장흥면이 장흥읍으로 승격하였고, 1980년 관산면이 관산읍으로, 대덕면이 대덕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장흥위씨는
1985년에는 5,420가구 22,726명, 2000년에는 7,711가구 24,65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7,862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