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무안유씨(務安兪氏)
    유래
     시조 : 유순직(兪舜稷)
    시조 유순직은 고려 예종때 삼중대광 검교소부감으로 공을 세우고 장사군에 봉해져서 장사를 본관으로 하였다. 그의 증손자 유천우(시호는 문도)는 고려 원종때 최의를 축출하는데 공을 세웠으며 삼별초 난때에는 한때 오해를 받았으나 그후 그가 큰인물임이 인정되어 중서시랑평장사, 삼중대광, 도첨의겸 정당문학에 오르고 충렬왕 때에는 찬성사로 승진되었다. 그가 죽은 후에 공을 추모하여 무안부원군에 추봉했다. 그래서 후손들이 본관을 무안으로 옮겼다.

    - 묘소는 개성시 보봉산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희익(兪希益) : 문과(文科) 세조2년(1456) 식년시 정과(丁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6世
    제(濟)
    27世
    식(植)
    28世
    병(炳)
    경(炅)
    29世
    조(朝)
    중(重)
    30世
    선(善)
    은(銀)
    31世
    수(洙)
    호(浩)
    32世
    영(榮)
    계(桂)
    33世
    희(熙)
    훈(勳)
    34世
    지(志)
    노(老)
    35世
    용(鎔)
    일(鎰)
    36世
    순(淳)
    치(治)
    37世
    채(采)
    표(杓)
    38世
    -
    39世
    -
    40世
    -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7世孫은 2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무안
    무안(務安)은 전라남도 무안군 일대에 위치한 지명으로 백제 때 물아혜군(勿阿兮郡)이라 불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무안군(務安郡)으로 개칭하였고 함풍(咸豊)·다기(多岐)·해제(海際)·진도(珍島) 등의 영현(領縣)을 관할하였다. 944년(고려 혜종 1) 물량군(勿良郡)으로 고쳤으며, 991(성종 10)에는 다시 무안으로 고치고, 1018년(현종 9) 나주의 속현이 되었다. 1172년(명종 2) 감무(監務)를 두었고, 1391년(공양왕 3)에는 성산극포권농방어사(城山極浦勸農防禦使)를 겸하였다. 1413년(태종 13)에 무안현으로 개편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면천(綿川)·면성(綿城) 등의 별호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군이 되었으며 1897년 무안부(務安府)로 승격되었고,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목포부(木浦府)를 독립시키고 나머지 지방은 무안군이 되었다. 1957년에 면성면이 무안면으로 개칭되고, 1979년 무안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83년에 일로면이 읍으로 승격되었고, 1983년에 망운면 운남출장소가 운남면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무안유씨는
    1985년에는 2,879가구 12,696명, 2000년에는 2,092가구 6,62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89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