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인동유씨(仁同兪氏)
유래
시조 : 유승단(兪升旦)
시조 유승단(兪升旦, 1168년~1232년)의 시호는 문안(文安), 초명은 원순(元淳)이다. 유승단은 1228년(고려 고종 15년)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거쳐 사부(師傅, 왕제자를 교육하던 시강원의 정1품)를 역임하고, 최우와 함께 강화에서 송도로 환도하는 등 공을세워 인동백(仁同伯)에 봉해졌다. 그러나 그후 세계(世系)의 기록이 없어져 고려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낸 유승석(兪承碩)을 1세 조상으로 하고, 유승단의 후손들이 인동에 세거함에 따라 인동을 본관으로 하였다. - 묘소는 인동 동외 봉룡곡에 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면(兪勉) : 문과(文科) 태종5년(1405)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유진(兪鎭) : 문과(文科) 세조8년(1462) 식년시 정과(丁科) 유태장(兪泰章, 1672 壬子生) : 문과(文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병과(丙科) 유사종(兪嗣宗,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유정준(兪廷俊, 1654 甲午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병과(丙科) 유택윤(兪宅贇, 1752 壬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증광시 삼등(三等) 유진(兪鎭)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세종29년(1447) 식년시 이등(二等) 유명흠(兪命欽, 1736 丙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1년(1777) 식년시 삼등(三等) 유택녕(兪宅寧, 1754 甲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4년(1804) 식년시 삼등(三等) 유일장(兪日章, 166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6년(1710)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5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북도 구미
인동(仁同)은 경상북도 구미시(龜尾市)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신라 초에는 사동화현(斯同火縣)·이동혜현(爾同兮縣)이라 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수동현(壽同縣)으로 고쳤다. 경덕왕 때 다시 인동현(仁同縣)으로 고치고 별호를 옥산(玉山)이라 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상주목(尙州牧) 경산도호부(京山都護府: 星州)의 속현(屬縣)으로 병합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감무(監務)를 두고 약목현(若木縣)을 속현으로 하였다. 1413년(태종)에 인동현에 현감(縣監)을 두었다가, 1604년(선조 37)에 도호부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인동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북도 인동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군이 폐지되었고 일부 지역은 인동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인동유씨는
1985년에는 955가구 4,021명, 2000년에는 452가구 1,51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44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