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거창유씨(居昌劉氏, 강릉,배천)
유래
시조 : 유전(劉筌)
유씨는 원래 중국 제요의 후손이 유땅에 봉해지면서 유씨로 성을 받은 것이다. 그후 수천년을 지나 초한 시대에 이르러 유방(한고조)이 중원을 통일하고 한제국을 창건하면서 유씨가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우리나라 유씨의 도시조인 유전(劉筌, 시호는 문양)은 한고조의 41세손으로 도학과 문장이 뛰어났고 송나라에서 벼슬이 병부상서에 이르렀다. 그는 1082년(고려 문종 36년) 8학사의 일원으로 고려에 들어온 후 경북 영일군에 정착하여 살았으며 고려 공민왕 때에 이르러 특명으로 그를 위한 사우가 건립되고 고려 태조와 함께 7왕을 모신 숭의전에 배향되고 있다. 거창 유씨 - 유전의 첫째 아들 유견규가 거타(거창)군에 봉해져 후손들이 본관을 거창으로 했다. 강릉 유씨 - 유전의 12세손인 유창이 조선개국공신 2등으로 옥천(강릉) 부원군에 봉해져서 본관을 강릉으로 하였다. 배천 유씨 - 유전의 8세손 유국추가 배천군에 봉해져서 본관을 배천으로 하였다. - 유전의 묘소는 경북영천군 영천읍 녹전동에 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덕개(劉德蓋, 1537 丁酉生) : 문과(文科) 선조6년(1573) 식년시 병과(丙科)
유성익(劉成益, 1636 丙子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유응남(劉應男,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찬방(劉贊邦, 1676 丙辰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유막난(劉莫難,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한민(劉漢民, 1612 壬子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유유창(劉有昌,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유을생(劉乙生,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업동(劉業同, 1596 丙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수오(劉秀吾)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1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거창
거창(居昌)은 경상남도 북서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현재 위천면(渭川面)지역을 임례(稔禮) 혹은 남내(南內)라 하였다. 본래 거타(居陀)·거열(居烈)이라 불리우던 것을 757년(신라 경덕왕 16) 임례를 함음현(咸陰縣)으로, 남내를 여선현(餘善縣)으로 개편하여 거창군으로 통합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 합주(陜州: 陜川)에 통합되었다가 1414년(태종 14)에 거제현(巨濟縣)과 합하여 제창현(濟昌縣)이 되었다. 1496년(연산군 2)에 거창군으로 승격되었다가 중종 때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 1658년(효종 9) 안음(安陰: 安義)에 편입시키고, 1739년(영조 15)에 거창부(居昌府)로 승격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거창군이 되었고, 1937년 거창면이 거창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거창유씨는
1985년에는 7,667가구 32,790명, 2000년에는 6,081가구 19,41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7,756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