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고부유씨(古阜劉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복(劉福,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1년(1633) 증광시 병과(丙科)
* 모두 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북도 정읍
고부(古阜)는 전라북도 정읍시(井邑市)에 속한 지역으로 백제 때 고부군은 고사부리군(古沙夫里郡), 태인현은 대시산군(大尸山郡)과 빈굴현(賓屈縣), 정읍현은 정촌현(井村縣)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고부군으로 고쳤다. 936년(고려 태조 19)에는 영주군(瀛州郡)이라 하고 관찰사(觀察使)를 두었으며, 951년(광종 2)에는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승격되었다. 1019년(현종 10)에 고부군으로 환원되었고, 충렬왕 때에는 영광군(靈光郡)에 병합되었다가 곧 분리되었다. 1409년(태종 9)에 태산현과 인의현은 태인현으로 병합되었다. 고부군은 1894년 갑오농민전쟁의 발원지로서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가장 뚜렷한 발자취를 남긴 지역 중의 하나이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전주부(全州府) 고부군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북도로 개편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부군의 일부가 정읍군에 편입되다. 1981년에 정주읍이 정주시로 승격 분리되었으며, 1983년에 내장면 일원과 소성면의 일부, 덕천면의 일부가 정주시에 편입되었다. 1995년 정읍군과 통합하여 정읍시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부유씨는
1985년에는 16가구 88명, 2000년에는 280가구 89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5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