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배천유씨(白川劉氏)
    유래
    유씨는 원래 중국 제요의 후손이 유땅에 봉해지면서 유씨로 성을 받은 것이다. 그후 수천년을 지나 초한 시대에 이르러 유방(한고조)이 중원을 통일하고 한제국을 창건하면서 유씨가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다.

    우리나라 유씨의 도시조인 유전(劉筌, 시호는 문양)은 한고조의 41세손으로 도학과 문장이 뛰어났고 송나라에서 벼슬이 병부상서에 이르렀다.
    그는 1082년(고려 문종 36년) 8학사의 일원으로 고려에 들어온 후 경북 영일군에 정착하여 살았으며 고려 공민왕 때에 이르러 특명으로 그를 위한 사우가 건립되고 고려 태조와 함께 7왕을 모신 숭의전에 배향되고 있다.

    유전의 8세손 유국추가 배천군에 봉해져서 본관을 배천으로 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원식(劉元植, 1847 丁未生) : 문과(文科) 고종3년(1866) 별시2 병과(丙科)
     유중식(劉中植, 1859 己未生) : 문과(文科) 고종29년(1892) 별시 병과(丙科)
     유흘(劉○, 1625 乙丑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유일(劉逸, 1550 庚戌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유성남(劉成男,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유대신(劉大信, 1592 壬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계흥(劉繼興, 1607 丁未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신원(劉信元, 1639 己卯生) : 무과(武科) 숙종1년(1675) 증광시 병과(丙科)
     유두문(劉斗文, 1643 癸未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유승택(劉承澤, 1629 己巳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무과 10명, 생원진사시 14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7世
    處(처)○
    ○道(도)
    28世
    ○柄(병)
    淵(연)○
    29世
    東(동)○
    ○基(기)
    30世
    ○鈺(옥)
    夏(하)○
    31世
    基(기)○
    ○浩(호)
    32世
    ○根(근)
    鍊(련)○
    33世
    演(연)○
    ○烈(열)
    34世
    ○載(재)
    植(식)○
    35世
    炳(병)○
    ○鎭(진)
    36世
    ○永(영)
    達(달)○
    37世
    鏞(용)○
    38世
    ○熙(희)
    澈(철)○
    39世
    車(차)○
    ○均(균)
    40世
    ○鍾(종)
    烈(열)○
    41世
    錀(륜)○
    42世
    ○浩(호)
    43世
    桂(계)○
    44世
    ○照(조)
    45世
    塤(훈)○
    46世
    ○鍵(건)
    47世
    洸(광)○
    48世
    ○稙(직)
    49世
    昇(승)○
    50世
    ○垌(동)
    51世
    錉(민)○
    52世
    ○澤(택)
    53世
    楊(양)○
    54世
    ○景(경)
    55世
    垣(원)○
    56世
    ○欽(흠)
    57世
    濱(빈)○
    58世
    ○格(격)
    59世
    熹(희)○
    60世
    ○奎(규)
    61世
    鐶(환)○
    62世
    -
    63世
    -
    64世
    -
    65世
    -
    66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8世孫은 27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연백
    배천(白川)은 황해도 남동부에 위치한 연백군(延白郡)의 옛 지명으로 본래 고구려 때 도랍현(刀臘縣) 또는 치악성(雉嶽城)이라 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는 구택현(雊澤縣)으로 개편하여 해고군(海皐郡)가 관할하였다. 고려 초에 배주(白州)로 바뀌어 개흥부·충익현·부흥군 등으로 불리우다가 의종 때 개흥부지사로 승격되었다. 1369년(공민왕 18) 다시 배주로 환원되었다. 1413년(태종 13) 배천군으로 개칭되었다. 1915년 연안군(延安郡)과 병합하여 연백군이 되었고 1953년 이후 황해도 연백군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배천유씨는
    1985년에는 2,123가구 8,910명, 2000년에는 2,051가구 6,57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