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래
청주유씨(淸州劉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두성(劉斗星, 1658 戊戌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유정(劉靖, 1854 甲寅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1년(1874) 증광시 삼등(三等)
유극승(劉克承, 1733 癸丑生) : 역과(譯科) 영조30년(1754) 증광시 ()
유극상(劉克祥, 1700 庚辰生) : 역과(譯科) 경종2년(1722) 증광시 ()
유도홍(劉道弘, 1718 戊戌生) : 역과(譯科) 영조26년(1750) 식년시 ()
유대한(劉大漢, 1690 庚午生) : 역과(譯科) 숙종34년(1708) 식년시 ()
유경우(劉景禹, 1785 乙巳生) : 역과(譯科) 순조7년(1807) 식년시 ()
유현창(劉賢昌, 1743 癸亥生) : 역과(譯科) 영조39년(1763) 증광시 ()
유극화(劉克和, 1701 辛巳生) : 역과(譯科) 영조3년(1727) 증광시 ()
유상익(劉商翼, 1720 庚子生) : 역과(譯科) 영조29년(1753) 식년시 ()
등 모두 29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명, 역과 23명, 의과 1명, 음양과 1명, 율과 1명, 주학 1명)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청주
청주(淸州)는 충청북도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도청소재지이다. 삼한시대에 마한의 땅이었다가 백제시대에 상당현(上黨縣), 일명 낭비성(娘臂城) 또는 낭자곡(娘子谷)이라고도 하였다. 685년(신라 문무왕 5) 서원소경(西原小京)을 두었고, 757년(경덕왕 16) 서원경(西原京)으로 승격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청주(淸州)로 지명을 고쳤고 983년(성종 2) 청주목이 된 뒤 995년(성종 14)에는 절도사를 두었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 1018년에 전국에 8개 목(牧)을 설치함에 따라 다시 청주목이 되고,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청주는 주(州)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조선시대에도 청주목을 유지하면서 충청도의 정치·행정의 중심지였으며, 1651년(효종 2)에는 충청도의 병마절도사영이 청주로 이전되어 충청도의 군사적인 중심지도 겸하였다. 그러나 역모사건 등으로 1656~1667년, 1681~1689년, 1804~1813년, 1826~1834년, 1862~1871년 등 여러 차례 서원현(西原縣) 등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청주군이 되었고, 1896년에 충청북도 청주군이 되었다. 1906년 관찰사를 충주에서 청주로 이전함으로써 비로소 충청북도의 주도(主都)가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청주면(淸州面)이라 개칭하였고, 1931년에는 지방제도 개정에 따라 읍으로, 1946년에는 청주부(淸州府)로 승격하였다. 1949년 지방자치법에 따라 청주시로 개칭하였고 1983년 전국 행정구역 조정으로 청주시 지역이 크게 확대되었다. 1995년 동부·서부 출장소가 동부는 상당구(上黨區)로, 서부는 흥덕구(興德區)로 승격하여 현재 상당구·흥덕구 2개 구가 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청주유씨는
1985년에는 62가구 257명, 2000년에는 226가구 76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87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