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충주유씨(忠州劉氏)
    유래
    충주유씨(忠州劉氏)에 대한 자료가 없습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희(劉○, 1766 丙戌生) : 문과(文科) 정조16년(1792) 식년시 병과(丙科)
     유기룡(劉起龍, 1857 丁巳生) : 문과(文科) 고종22년(1885) 별시 병과(丙科)
     유사평(劉師○, 1760 庚辰生) : 문과(文科) 정조10년(1786) 식년시 병과(丙科)
     유무성(劉武成, 1588 戊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의인(劉儀仁, 1608 戊申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유중립(劉中立, 1611 辛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을과(乙科)
     유의남(劉義男, 1577 丁丑生) : 무과(武科) 선조35년(1602) 별시 병과(丙科)
     유문(劉文, 1597 丁酉生) : 무과(武科) 인조14년(1636) 별시 병과(丙科)
     유종례(劉宗禮, 1649 己丑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유기태(劉基泰, 1650 庚寅生) : 무과(武科) 숙종7년(1681)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8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9명, 생원진사시 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충주
    충주(忠州)는 충청북도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명이다. BC 3∼4세기에는 마한에 속하였다. 그 뒤 마한이 백제에 병합되었으나, 다시 고구려에 속해 475년(고구려 장수왕 63) 국원성(國原城)이라 하였다. 557년(신라 진흥왕 18) 국원소경(國原小京)이라 하였고, 757년(경덕왕 16) 중원소경(中原小京)이라 개칭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충주라 개칭하였고, 983년(성종 2) 충주목(忠州牧)이라고 하였다. 995년(성종 14) 창화군(昌化軍)으로 바꾸고 절도사(節度使)를 파견하여 중원도(中原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현종 3)에 안무사로 바뀌었다가 1018년에 전국의 8개목 중 하나가 설치되어 양광도(楊廣道)에 소속되었다. 1254년(고종 41)에 국원경(國原京)으로 승격되었다가 뒤에 다시 목으로 환원되었으며 1310년(충선왕 2)에는 충주로 강등되었다.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충주목이 되었다. 1395년(태조 4) 충청도관찰사를 두었으며, 명종·광해군·인조·숙종·영조 등 여러 시기에 모반 등으로 인해 유신현(維新縣) 또는 충원현(忠原縣)으로 개칭되면서 현으로 강등되기도 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충주부 충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 실시로 충주부가 폐지되었고 충청북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08년(순종 2) 도청을 청주로 이전시키고 군수를 두었다. 1917년 충주군 읍내면이 충주면으로 개칭되었고, 1956년 7월 충주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나머지 지역은 중원군으로 분리되었다. 1989년 중원군 살미면 목벌리(木伐里)와 이류면 만정리(萬井里) 일부를 충주시에 편입하였고, 1995년 충주시와 중원군이 통합하여 충주시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충주유씨는
    1985년에는 274가구 1,125명, 2000년에는 497가구 1,597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544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