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고흥유씨(高興柳氏)
유래
시조 : 유영(柳英)
시조 유영은 원래 신라의 선비로 신라말에 정치가 혼란하자 흥양(고흥)으로 이사 하여 고려 개국후 호장을 지냈다. 그리고 그의 7세손 유청신이 고려 충선왕 때 도첨의 정승을 지내고 고흥 부원군에 봉해짐에 따라 후손들이 본관을 고흥으로 하였다. - 묘소는 경기도 개풍군 미륵산에 있으며 향사일은 음력 10월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휘석(柳輝錫, 1854 甲寅生) : 문과(文科) 고종30년(1893) 별시 병과(丙科)
유집(柳潗, 1582 壬午生) : 문과(文科) 광해군8년(1616) 별시 을과(乙科) 유영하(柳榮河, 1787 丁未生) : 문과(文科) 순조19년(1819) 식년시 갑과(甲科) 유동필(柳東弼, 1632 壬申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유장춘(柳長春, 1533 癸巳生) : 무과(武科) 선조16년(1583) 별시 병과(丙科) 유동혁(柳東赫, 1620 庚申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유옥(柳沃)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유시발(柳時發)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유호(柳濠)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유용(柳湧, 1861 辛酉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17년(1880) 증광시 삼등(三等) 등 모두 31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명, 무과 6명, 생원진사시 22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고흥
고흥(高興)은 전라남도 고흥군 일대의 옛 지명으로 삼한시대에 마한의 54국 가운데 초리국(楚離國)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이다. 고려 초에 장흥부의 고이부곡(高伊部曲)이라 하였으며, 1285년(충렬왕 11)에 고흥현(高興縣)으로 승격되고 현감이 배속되었다. 1395년(태조 4)에 보성군(寶城郡)의 조양현(兆陽縣)으로 개편되었다가, 1441년(세종 23)에는 장흥부(長興府)의 두원현(豆原縣)을 설치하고 보성군 남양현(南陽縣)을 포괄하여 흥양현(興陽縣)으로 개편하였다. 1869년(고종 6)에 흥양현 소속 삼도진(三島鎭)에서 발생한 이른바 거문도사건으로 삼도진이 철폐되고 거문진과 청산진이 설치되는 등 해안 방비가 강화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장흥군으로 고쳤으며, 1914년 군면 폐합으로 고흥군이 되었다. 1979년 고흥면이 고흥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고흥유씨는
1985년에는 15,316가구 64,510명, 2000년에는 16,872가구 53,981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2,221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