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현풍곽씨(玄風郭氏, 포산)
유래
시조 : 곽경(郭鏡)
시조 곽경(郭鏡)은 원래 송나라 관서지방 홍농사람으로 1133년(고려 인종11년)에 귀화하여 평장사 문하시중에 이르렀고 금자광록대부의 작위와 포산군에 봉해짐으로써 본관을 포산으로 하였다. 조선시대에 포산이 현풍으로 개편되어 현풍으로 개칭하였다. 그외에도 선산, 해미, 봉산 등 여러 본관이 있으나 1976년에 현풍으로 합본하였다. 인물
- 곽헌(憲) : 고려 때 지승선을 지냈다.
- 곽림(琳) : 찬성사를 지냈다. - 곽응(膺) : 충렬왕 때 예부상서, 문하찬성사, 감찰어사 등을 역임했다. - 곽돈효(敦孝) : 밀직부사, 예부상서를 역임했다. - 곽우현(佑賢) : 문하시중, 평장사릉 역임하고, 선산군에 봉해졌다. - 곽정부(廷府) : 조선 때 군수를 지냈다. - 곽항(恒) : 호는 성견, 부호군을 지냈다. - 곽항(恒) : 호는 매곡, 판관을 지냈다. - 곽보완(保完) : 대제학을 역임했다. - 곽재우(再祐) : 홍의장군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곽세익(郭世翼, 1630 庚午生) : 문과(文科) 효종5년(1654) 식년시 병과(丙科)
곽황(郭○) : 문과(文科) 명종11년(1556) 별시 을과(乙科) 곽운립(郭雲立,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26년(1593) 별시 을과(乙科) 곽급(郭○, 1603 癸卯生) : 문과(文科) 인조26년(1648) 식년시 병과(丙科) 곽기(郭琦, 1854 甲寅生) : 문과(文科) 고종23년(1886) 정시 병과(丙科) 곽수녕(郭遂寧)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식년시 병과(丙科) 곽엄(郭○, 1590 庚寅生) : 문과(文科) 인조1년(1623) 개시 병과(丙科) 곽융(郭瀜, 1600 庚子生) : 문과(文科) 인조5년(1627) 식년시 병과(丙科) 곽진익(郭鎭益, 1740 庚申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병과(丙科) 곽익(郭○) : 문과(文科) 명종7년(1552)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166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33명, 무과 19명, 생원진사시 95명, 의과 2명, 음양과 2명, 율과 15명) 세거지
- 충북 청원군 옥산면 금계리
- 경기도 여주군 강천면 간매리 - 경남 합천군 대병면 유전리 - 강원도 원성군 문막면 동화리 - 경기도 평택군 팽성면 두정리 항렬자
전리공파(典理公派)
우장군파(右將軍派)
교리공파(校理公派)
주부공파(主簿公派)
현령공파(顯令公派)
목사공파(牧使公派)
구거당공파(九居堂公派)
충익공파(忠翼公派)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대구광역시 달성
현풍(玄風)은 대구광역시 달성군(達城郡) 현풍면 일대의 옛 행정구역이다. 신라 때에는 추량화현(推良火縣) 또는 삼량화현(三良火縣)이라 하였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이 현효현(玄驍縣)으로 고쳐서 화왕군(火旺郡: 昌寧)에 속하게 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 현풍현(玄風縣: 玄豊縣)으로 개칭하여 밀성군(密城郡: 密陽)의 관할로 두었다가, 1390년(공양왕 2) 밀성군의 구지산부곡(仇知山部曲)을 분할받아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다. 조선시대에도 현풍현으로 명맥을 이어오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대구부 현풍군이 되었고, 1896년에 경상북도 현풍군이 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현풍면으로 분할 축소되어 대구부로 통합되면서 현풍군은 폐지되었다. 1941년 대구부가 대구시로 개편된 이래 1995년 대구광역시에 통합되었고, 2005년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현풍곽씨는
1985년에는 30,969가구 127,323명, 2000년에는 43,626가구 140,28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66,608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