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부평유씨(富平柳氏)
    유래
     시조 : 유흥정(柳興廷)
    시조 유흥정(柳興廷)이 고려시대에 낭장(郎將)을 지냈음을 알 수 있을 뿐 문헌이 없어 본관의 유래 등은 알 수 없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인천광역시
    부평(富平)은 경기도 부천시 일대에 조선시대에 설치되었던 부평도호부(富平都護府)의 동남부지역이었다. 백제와 고구려의 주부토군(主夫吐郡)이라 불리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장제군(長堤郡)으로 개칭되어 한주(漢州: 廣州) 관하에 있었으며, 영현으로 분진(分津: 通津)·김포(金浦)·동성(童城)·술성(戌城) 등 4개현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 수주(樹州)로 개칭되었으며, 995년(성종 14)에 단련사를 파견하였다가 1005년에 혁파하였다. 1018년(현종 9)에 주로 승격하였다가 1150년(의종 4)에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로 개칭하였고, 금천(衿川)·동성(童城)·통진(通津)·공암(孔巖)·김포(金浦)·수안(守安) 등을 속현으로 포함하여 넓은 면적을 관할하였다. 1215년(고종 2)에는 이곳 계양산의 이름을 따서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로 개칭했으며, 1308년(충렬왕 34)에 길주목(吉州牧)으로 승격되었다가, 1310년(충선왕 2)에 다시 부평부로 강등되었다. 1413년(태종 13)에 다시 부평도호부가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인천부 부평군이 되었으며, 1896년 경기도 부평군이 되었다. 1914년 군부(郡府) 폐합령에 따라 넓은 지역이 인천부(仁川府)에 속하게 되었고, 나머지 지역과 주변의 일부지역을 합쳐서 부천군으로 발족하였다. 1973년 부천군이 폐지되면서 소사읍을 중심으로 한 부천시로 승격하였다. 부평군은 인천광역시 부평구가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부평유씨는
    1985년에는 6가구 13명, 2000년에는 73가구 220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