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진주유씨(晋州柳氏, 이류) - 移柳
    유래
     시조 : 유인비(柳仁庇)
    시조 유인비(柳仁庇)는 문화유씨의 시조 유차달(柳車達)의 10세손이다.
    그는 9세손 밀직사 유순(柳淳)의 아들 7형제중 막내로 고려에서 예문관 대제학, 지춘추관사 등을 거쳐정당문학을 지내고 진산군에 봉해졌다. 그리하여 후손들은 본관을 문화에서 진주로 분적하게 되었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유명천(柳命天, 1633 癸酉生) : 문과(文科) 현종13년(167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유순정(柳順汀, 1459 己卯生) : 문과(文科) 성종18년(1487) 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유근(柳根, 1549 己酉生) : 문과(文科) 선조5년(1572)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유성한(柳星漢, 1750 庚午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증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유자빈(柳自濱) : 문과(文科) 세조8년(1462) 식년시 을과(乙科) 장원급제
     유자한(柳自漢) : 문과(文科) 세조6년(1460) 평양별시 일등(一等) 장원급제
     유택하(柳宅夏, 1714 甲午生) : 문과(文科) 영조40년(1764) 별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유명현(柳命賢, 1643 癸未生) : 문과(文科) 현종14년(1673) 춘당대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유경종(柳慶宗, 1565 乙丑生) : 문과(文科) 선조28년(1595) 별시2 을과(乙科)
     유시번(柳時蕃, 1616 丙辰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알성시 을과(乙科)
    등 모두 46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37명, 무과 35명, 생원진사시 289명, 의과 2명, 음양과 1명, 율과 1명)
  • ※ 과거급제자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0世
    기(冀)
    규(揆)
    남(南)
    31世
    구(九)
    배(培)
    석(錫)
    규(奎)
    32世
    병(炳)
    성(成)
    호(浩)
    수(洙)
    33世
    형(衡)
    녕(寧)
    래(來)
    근(根)
    34世
    성(成)
    무(茂)
    섭(燮)
    희(熙)
    35世
    기(紀)
    기(基)
    재(載)
    36世
    규(圭)
    현(鉉)
    37世
    회(會)
    태(泰)
    38世
    택(澤)
    식(植)
    39世
    병(秉)
    병(炳)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1世孫은 30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진주
    진주(晉州)은 경상남도 남서쪽에 위치한 지명으로 본래 삼한시대에 소국인 고순시국(古淳是國)이 있었던 곳이다. 백제의 거열성(居烈城)이었고, 신라 문무왕 때 신라의 영토가 되어 거열주(居烈州)라 불리었으며, 757년(신라 경덕왕 16) 9주 5소경제(九州五小京制)의 실시와 함께 강주도독부(康州都督府)로 고쳤다가, 혜공왕 때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에 강주(康州)로 환원되었다. 983년(성종 2) 전국에 12목을 둘 때 진주목이 되었다. 995년(성종 14)에는 정해군(定海軍)이라 하고 절도사(節度使)를 두어 산남도(山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에 안무사(按撫使)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진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310년(충선왕 2)에 진주로 강등되었다가 1356년(공민왕 5)에 다시 진주목으로 회복되었다. 1392년(태조 1)에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가 되었다가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되어 조선시대 동안 유지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진주군이 되었다가, 1896년에 13도제(道制) 실시로 경상남도 진주군이 되었다. 1931년에 진주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1939년 진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진양군이 진주시에 통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진주유씨(移柳)는
    1985년에는 17,667가구 72,829명, 2000년에는 18,685가구 60,104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8,901명으로 조사되었다.
  • ※ 2015년 인구조사에서는 본관은 같으나 계통이 다른 성씨를 구분하여 조사하지 않았다.
  • 참고사항
     과거급제자와 인구수는 계통이 다른 진주유씨(土柳)와 구분이 안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