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옥천육씨(沃川陸氏, 관성)
유래
시조 : 육보(陸普)
시조 육보(陸普)는 신라 경순왕의 부마이다. 본래 중국 절강성 소흥부 사람으로, 당선공(唐宣公) 육지(陸贄)의 후손이다. 927년 당나라 명종이 신라에 유교를 전파하기 위해 8학사를 파견하였을 때, 홍은설, 정간 등과 함께 우리나라에 왔다. 그중 육보가 문장과 공적이 뛰어나, 경순왕의 총애를 받아 부마가 되고 관성(옥천)군에 봉해졌다. 그러나 그후의 기록이 없어서 고증 할 수 없으므로 고려 충렬왕 때 주부를 지낸 육인단(陸仁端)을 중시조로 하고 1세로 하였다. 육인단의 증손 5형제가 모두 현달하여 4파를 이루었다. 다섯째 육태귀(陸台貴)는 공양왕 때 1품벼슬에 올랐으나 자손이 없는 것으로 전한다. 인물
- 육홍(鴻) : 육여의 아들 고려 말에 부마가 되었다.
- 육명산(命山) : 육홍의 아들. 조선 초에 대장군으로 이름을 떨쳤다. - 육홍운(鴻運) : 숙종 때 문장이 뛰어나고 덕행으로 이름이 났다. - 육영수(陸英修) : 대한민국 제5~9대 대통령 박정희의 부인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육대춘(陸大春) : 문과(文科) 명종1년(1546) 증광시 병과(丙科)
육충립(陸忠立, 1598 戊戌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육자흘(陸自屹, 1649 己丑生) : 무과(武科) 현종13년(1672) 별시 병과(丙科) 육지원(陸祉遠, 1744 甲子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정조7년(1783) 증광시 삼등(三等) 육홍운(陸鴻運, 1664 甲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39년(1713) 증광시 삼등(三等) 육용필(陸用弼, 1838 戊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고종31년(1894) 식년시 삼등(三等) 육치(陸峙)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세종29년(1447) 식년시 이등(二等) 육병란(陸炳蘭, 1838 戊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철종12년(1861) 식년시 삼등(三等) 육금석(陸金石)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예종1년(1469) 증광시 삼등(三等) 육대붕(陸大鵬)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명종1년(1546)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2명, 생원진사시 10명)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충청북도 옥천
옥천(沃川)은 충청북도 남쪽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신라 때에는 고시산군(古尸山郡)이라 불렸으나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관성군(管城郡)으로 고쳤고,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경산부(京山府: 星州)의 예속되었다가 1143년(인종 21)에 현이 되었다. 1181년(명종 12)에 일시 폐현되기도 하였으나 1313년(충선왕 5) 주(州)로 승격하여 옥주(沃州)라 했고 경산부 소속인 이산(伊山)·안읍(安邑)·양산(陽山)의 3현을 받아들였다. 1413년(태종 13)에는 옥천으로 개칭하고 관할도를 경상도에서 충청도로 변경하였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공주부 옥천군이 되었고, 1896년 충청북도 옥천군이 되었고, 1914년에는 군면 폐합으로 청산군(靑山郡)을 병합하였고 학산면(鶴山面)·용화면(龍化面)·양산면(陽山面)은 영동군(永同郡)에 이관하였다. 1917년 내남면이 옥천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29년에는 이내(伊內)·이남(伊南) 두 면을 합하여 이원면(伊院面)으로 하고 청서(靑西)·청남(靑南) 두 면을 합하여 청성면(靑城面)으로 개편하였으며, 1949년에는 옥천면이 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옥천육씨는
1985년에는 4,341가구 18,027명, 2000년에는 6,259가구 20,17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21,410명으로 조사되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