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칠원윤씨(漆原尹氏)
    유래
     시조 : 윤시영(尹始榮)
    시조 윤시영(尹始榮)은 신라 무열왕 때 태자태사로서 고명원로에 이르렀다. 그러나 그의 아들 윤황 이후의 기록은 없어서 알 수가 없고, 고려시대에 칠원백, 호장을 지낸 윤거부를 1세 조상, 중시조로 하고있다. 그의 17세손인 윤길보(시호는 충의)가 구성군에 봉해지고 후손들이 칠원군에 살면서 본관을 칠원으로 하였다.

    - 묘소는 경남 함안군 칠서면에 있다.
    인물
    - 윤수(秀) : 고려 충렬왕 때 군부판서(軍簿判書), 응양군상호군(鷹揚軍上護軍)을 지냈다.
    - 윤저(抵) : 윤수의 증손. 조선 태조 때 상장군이 되고 제2차 왕자의 난 때 태종을 도와 좌명공신 3등에 책록, 찬성사가 되었다.
    - 윤석보(碩輔) : 옥당(玉堂), 직제학을 지내고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 윤풍형(豊亨) : 윤석보의 아들. 관찰사, 부제학을 역임하였다.
    - 윤탁연(卓然) : 윤석보의 증손. 명종 때 춘추관기사관으로 '명종실록' 편찬에 참여하고, 옥당, 3도관찰사, 형조, 호조판서를 지냈으며, 선조 때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칠계군에 봉해졌다.
    - 윤지술(志述) : 숙종 때 유생으로 신임사화에서 화를 입었으며, 임창, 이의연과 함께 3포의(三布衣)로 일컬어졌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윤지원(尹志遠, 1682 壬戌生) : 문과(文科) 영조4년(1728) 별시2 병과(丙科)
     윤탁연(尹卓然, 1538 戊戌生) : 문과(文科) 명종20년(1565) 알성시 병과(丙科)
     윤치적(尹致績, 1634 甲戌生) : 문과(文科) 현종10년(1669) 정시 병과(丙科)
     윤우정(尹遇丁, 1617 丁巳生) : 문과(文科) 현종3년(1662) 정시 병과(丙科)
     윤상학(尹尙學, 1819 己卯生) : 문과(文科) 고종19년(1882) 증광시 을과(乙科)
     윤지형(尹志衡, 1707 丁亥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병과(丙科)
     윤일복(尹一復, 1715 乙未生) : 문과(文科) 영조33년(1757) 정시 병과(丙科)
     윤지화(尹志和, 1660 庚子生) : 문과(文科) 숙종25년(1699) 정시 병과(丙科)
     윤자신(尹自莘, 1555 乙卯生) : 문과(文科) 선조39년(1606) 증광시 병과(丙科)
     윤지태(尹志泰, 1700 庚辰生) : 문과(文科) 영조11년(1735) 증광시 병과(丙科)
    등 모두 13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6명, 무과 10명, 생원진사시 98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31世
    환(煥)
    경(敬)
    32世
    국(國)
    33世
    재(載)
    34世
    의(義)
    의(誼)
    35世
    영(永)
    36世
    학(學)
    근(根)
    37世
    병(炳)
    형(炯)
    38世
    원(遠)
    규(逵)
    39世
    종(鍾)
    호(鎬)
    40世
    순(淳)
    수(洙)
    41世
    상(相)
    주(柱)
    42世
    묵(默)
    훈(勳)
    43世
    효(孝)
    교(敎)
    44世
    흠(欽)
    진(鎭)
    45世
    해(海)
    부(溥)
    46世
    식(植)
    모(模)
    47世
    찬(燦)
    혁(爀)
    48世
    균(均)
    배(培)
    49世
    용(鎔)
    기(錤)
    50世
    한(漢)
    연(淵)
    51世
    동(東)
    정(程)
    52世
    환(煥)
    섭(燮)
    53世
    규(圭)
    규(奎)
    54世
    전(銓)
    갑(鉀)
    55世
    철(徹)
    자(滋)
    56世
    영(榮)
    권(權)
    57世
    현(炫)
    희(熙)
    58世
    기(基)
    곤(坤)
    59世
    -
    6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2世孫은 3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함안
    칠원(漆原)은 경상남도 함안군(咸安郡)에 속해있는 지명으로 본래 백제의 칠토현(漆吐縣)이었던 것을 757년(신라 경덕왕 16)이 칠제(漆隄)로 고쳐서 의안군(義安郡: 昌原)에 예속시켰으며, 고려 초에 칠원(漆原)으로 고쳐 1018년(현종 9) 김해(金海)에 속하게 하였다. 조선에 와서는 초기에 칠원현으로 고친 후, 선조 때 창원(昌原)에 속하였다가 광해군 때 현(縣)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관할의 칠원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남도로 이관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칠원, 칠서, 칠북의 3면으로 편성되어 함안군(咸安郡) 칠원면이 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칠원윤씨는
    1985년에는 10,817가구 44,883명, 2000년에는 16,829가구 54,26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65,09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