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함안윤씨(咸安尹氏)
    유래
     시조 : 윤돈(尹敦)
    시조 윤돈(尹敦)은 남원 윤씨의 시조인 윤위의 손자이다. 윤돈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급제하고 전의정랑을 거쳐 이부시랑에 올랐다. 이 때 함안에서 반왕의 난이 일어나자 왕이 원수 겸 자사에 봉하고 난을 평정토록 명하자 병사들을 이끌고 평정하여 그 공으로 수문전 태학사, 판밀직 문하시중에 특진되고 함안백에 봉해졌으며 함안을 식읍으로 하사 받았다.
    윤돈에게 아들 4형제가 있었는데 첫째 아들 윤희보(주부공)은 본관을 함안으로 하였고, 나머지 3형제는 남원윤씨를 이었다. 그러나 후에 파평 윤씨로 합본하였다고 한다.
    인물
    - 윤각(慤) : 조선 숙종 때 무과에 급제, 삼군수군통제사를 거쳐 총융사를 지냈다.
    - 윤의검(義儉), 윤태연(泰淵) : 어영대장을 지냈다.
    - 윤기무(起畝) : 세종 때 문과에 급제, 봉상시판사를 지냈으며, 연산군의 외조부이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윤의(尹○, 1557 丁巳生) : 문과(文科) 선조16년(1583) 정시 을과(乙科)
     윤지(尹志, 1688 戊辰生) : 문과(文科) 경종3년(1723) 별시 을과(乙科)
     윤정(尹定, 1376 丙辰生) : 문과(文科) 태조2년(1393) 식년시 병과(丙科)
     윤수두(尹壽斗, 1625 乙丑生) : 문과(文科) 효종8년(1657) 식년시 을과(乙科)
     윤약연(尹若淵, 1735 乙卯生) : 문과(文科) 영조42년(1766) 정시3 병과(丙科)
     윤기무(尹起畝) : 문과(文科) 세종21년(1439) 친시 병과(丙科)
     윤천뢰(尹天賚, 1617 丁巳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별시 병과(丙科)
     윤대상(尹大祥, 1599 己亥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윤재(尹梓, 1623 癸亥生) : 무과(武科) 효종2년(1651) 별시 병과(丙科)
     윤욱(尹○, 1614 甲寅生) : 무과(武科) 인조22년(1644) 정시 병과(丙科)
    등 모두 27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6명, 무과 4명, 생원진사시 17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항렬자
    29世
    검(儉)
    30世
    희(喜)
    31世
    석(錫)
    32世
    영(泳)
    33世
    임(林)
    34世
    용(容)
    35世
    임(任)
    36世
    종(鍾)
    37世
    원(源)
    38世
    상(相)
    39世
    섭(燮)
    40世
    기(基)
    41世
    -
    42世
    -
    43世
    -
    44世
    -
    45世
    -
    46世
    -
    47世
    -
    48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30世孫은 29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함안
    함안(咸安)은 경상남도 남부 중앙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옛 함안군과 칠원현이 합하여 이루어진 지역이다. 삼한시대 변한(弁韓)의 땅이었으며, 가야연합국 중 아시량국(阿尸良國), 아라가야(阿羅伽倻)이었다. 이후 신라에 편입되어 아시량군(阿尸良郡)이 설치되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함안군으로 개칭하였고, 현무현(玄武縣)縣)·의령현(宜寧縣)을 영현으로 관할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4)에 함주(咸州)로 승격되었다가, 1018년(현종 9)에 다시 함안군으로 금주(金州: 金海)에 병합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가 파견되면서 독립하였고, 1373년(공민왕 22)에 다시 함안군으로 승격하였다. 1505년(연산군 11)에 함안도호부(咸安都護府)가 되었다가, 1506년(중종 1)에 함안군이 되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함안군과 칠원군이 되었다가, 1896년의 도제(道制) 실시로 경상남도에 소속되었다. 1906년 칠원군을 함안군에 통합했으며, 1914년 군면 폐합으로 상봉(上奉)·하봉(下奉)·상사(上寺)의 3면(面)을 진주(晉州)에 예속시키고, 영산군 길곡면(吉谷面)의 사촌리(泗村里)·금암리(金巖里) 일부 및 마산부(馬山府) 내서면(內西面) 예곡리(禮谷里) 일부를 병합하였다. 1918년에 읍내면을 함안면으로 개칭하였다. 1933년 죽남면이 군북면으로 편입되었으며, 1973년 함안군 대산면(代山面) 산서리(山西里)를 가야면(伽倻面)에 편입하였다. 1979년에 가야면이 가야읍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함안윤씨는
    1985년에는 1,388가구 6,106명, 2000년에는 1,784가구 5,78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7,608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