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해주윤씨(海州尹氏)
    유래
     시조 : 윤중부(重富)
    시조 윤중부(重富)는 조선 세종 때 중추부지사를 지냈으며, 아들 윤희평(熙平)은 연산군 때 무과에 급제, 공조판서와 중추부지사를 지냈다. 서흥 윤씨(瑞興)라고도 했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윤치후(尹致後, 1777 丁酉生) : 문과(文科) 순조7년(1807) 알성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윤흥이(尹興伊, 1602 壬寅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윤만선(尹萬善, 1791 辛亥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순조9년(1809)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1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황해도 해주
    해주(海州)는 황해도 남해안에 위치한 도청소재지이다. 고조선시대에 대방군(帶方郡)에 속하여 고죽(孤竹)으로 불리었다. 고구려 때에는 내미홀(內米忽) 또는 지성(池城)·장지(長池) 등으로 불리우다가, 748년(신라 경덕왕 7)에 폭지군(瀑池郡)으로 바뀌었다. 936년(고려 태조 19)에 태조가 남쪽이 바다와 접하고 있다고 하여 해주를 사명(賜名)했으며 성종 때 와서는 별호로 대령(大寧)·서해(西海)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983년(성종 2)에 해주목으로 승격된 데 이어 1018년(현종 9)에 안서도호부로 개편되었고 1247년(고종 34)년에는 다시 해주목으로 환원되었다. 1616년(광해군 8)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623년(인조 1)에 다시 목으로 복구되었다. 1895(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해주부가 설치되었고, 1896년 도제 실시로 황해도의 도청소재지가 되었다. 1945년 해주시로 개편되었다. 1954년 북한의 관제 정비로 황해남도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해주윤씨는
    1985년에는 68가구 350명, 2000년에는 284가구 8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20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