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능성구씨(綾城具氏)
유래
시조 : 구존유(具存裕)
시조는 구존유(具存裕)로 선대에 대하여는 명확하지 않다. 구존유는 고려시대 벽상삼한삼중대광(壁上三韓三重大匡) 검교상장군(檢校上將軍)에 이르렀다. 구존유의 장인인 주잠(朱潛, 신안주씨 시조)은 송나라 한림학사로서 송나라가 몽골에 패망하자 1224년(고려 고종 11년) 망명하여 금성(錦城, 나주의 옛이름)에 정착하였다. 주잠이 능성에서 살며 2남 1녀를 두었는데 딸이 구존유와 혼인하여 능성에서 살게되자 구존유가 능성을 본관으로 하였다. 일설에 의하면 구존유는 송나라가 원나라에 패망하자 1224년(고려 고종 11년) 주잠과 함께 망명해온 뒤 원나라가 이들을 추적하자, 구적덕(具積德)으로 이름을 고쳐 능주(綾州, 능성)에 숨어 지내다가 주잠의 딸과 혼인하였다고도 한다. 인물
조선 세조 때 구치관(具致寬)이 영의정을 지낸 것을 비롯하여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2명, 공신 9명, 부마(駙馬) 3명을 배출하였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구영석(具齡錫, 1771 辛卯生) : 문과(文科) 순조12년(1812) 정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구득노(具得魯) : 문과(文科) 순조6년(1806) 중시 갑과(甲科) 장원급제 구행익(具行益, 1790 庚戌生) : 문과(文科) 순조16년(1816) 별시 병과(丙科) 구수복(具壽福, 1491 辛亥生) : 문과(文科) 중종11년(1516) 식년시 을과(乙科) 구봉령(具鳳齡, 1538 戊戌生) : 문과(文科) 명종15년(1560) 별시 을과(乙科) 구윤옥(具允鈺, 1720 庚子生) : 문과(文科) 영조29년(1753) 알성시 을과(乙科) 구수국(具壽國, 1725 乙巳生) : 문과(文科) 영조27년(1751) 정시 병과(丙科) 구명원(具明源, 1768 戊子生) : 문과(文科) 정조22년(1798) 식년시 병과(丙科) 구의강(具義剛, 1559 己未生) : 문과(文科) 선조29년(1596) 정시 병과(丙科) 구지신(具之愼) : 문과(文科) 연산군10년(1504) 식년시 병과(丙科) 등 모두 24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54명, 무과 26명, 생원진사시 164명, 의과 1명) 세거지
- 경기도 광주군 실촌면 열미리, 서부면 감일리
- 충남 공주군 의당면 중흥리 - 충북 보은군 마로면 관기리, 산외면 봉곡리 - 충남 당진군 송악면 가교리 - 충북 음성군 금왕읍 쌍봉리 - 전북 익산군 함열면 와리 - 충북 옥천군 청산면 예곡리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화순
능성(綾城)은 전라남도 화순군(和順郡) 능주면(綾州面)의 옛 지명으로 백제시대에 이릉부리현(爾陵夫里縣) 또는 죽수부리현(竹樹夫里縣)·인부리현(仁夫里縣)·연주부리현(連珠夫里縣) 등으로 불리었다.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능성군(陵城郡)으로 바꾸고 무주(武州: 光州)의 영현이 되었으며 부리(富里)·여미(汝湄) 등의 현을 관할하였다. 940년(고려 태조 23)에는 능성(綾城)으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 나주의 영현이 되었다가 1143년(인종 21)에 능성현으로 승격하였다. 1416년(태종 16) 화순을 병합하여 순성현(順城縣)이 되었다가, 1418년 화순이 분리되었다. 임진왜란 때에 다시 화순을 병합하기도 하였다. 1632년(인조 10)에 능주목으로 승격하였고 이릉(爾陵)이라고도 불리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나주부의 능주군이었고 1896년 전라남도로 개편되었다. 1908년에 화순군이 능주군에 병합되었으나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능주군을 화순군으로 이름을 바꾸어 능주군은 폐지되었고, 능주면으로서 화순군(和順郡)에 편입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능성구씨는
1985년에는 27,231가구 111,834명, 2000년에는 37,706가구 120,50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08,209명으로 조사되었다. 참고사항
6세손에 해당하는 고려 말기에서 조선 전기 사이에 9파로 갈렸다. 그중 도원수파, 판안동파, 좌정승파 등 3파가 조선시대에 가장 현달하였으며, 오늘날 능성구씨 전체 인구의 약 80%(도원수파만 40%)를 차지하고 있다.
판사파(判事派):구현좌(具賢佐) 시랑중파(侍郞中派):구(영량具英良) 좌정승파(左政丞派):구홍(具鴻) 판안동파(判安東派):구성량(具成亮) 도원수파(都元帥派):구성로(具成老) 낭장파(郞將派):구현보(具賢補) 감무파(監務派):구현기(具賢器) 참판파(參判派):구성미(具成美) 문천군사파(文川郡事派):구원립(具爰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