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가평이씨(加平李氏)
    유래
     시조 : 이인보(李仁輔)
    시조 이인보(李仁輔)는 신라 때 완산의 호장(完山 戶長)을 지냈다.
    <가평이씨세보>에 의하면 그의 선조는 중국에서 건너와 완산에서 살았으며, 이인보의 선조 이경의(李景義)는 고조선의 마지막 왕 기준(애왕)이 위만에 멸망하고 남쪽으로 내려올 때 수행해 온 공으로 대사도가 되고, 완산군에 봉해졌고 한다.
    본관은 신라시대에는 완산으로 하고, 8세손 이기문(李起文)이 가평 조종현(朝宗 : 가평의 옛 지명)에 들어와 살면서 본관을 조종으로 했다가, 조선시대에 이다림(李多林)이 가평군에 봉해져서 본관을 가평으로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계보도에도 31세손 이다림으로 부터 시작되고 있다.
    실질적 중시조인 이다림은 1412년(태종 12년) 무과에 급제하고 여러 관직을 거쳐 동지중추원사와 부총관에 이르렀다.

    -이다림의 묘는 충남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에 있으며, 음력 10월 1일 향사한다.
    인물
    이윤손(李允孫)은 이다림의 맏아들로 정종 때 무과에 급제하고 문종 때 영변부사와 평안도병마절도사, 한성부판윤과 도총관 등을 역임했고 이조판서에 이르렀다.
    둘째 아들 이형손(李亨孫)은 가평이씨의 대표적 인물로 세종 29년 무과에 급제하여 군기부정, 함길도도진무사, 절형장군, 의주목사 등을 역임하였고, 세조13년엔 박충선과 함께 평안도에서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는 데 공을 세워 적개공신(敵愾功臣) 2등에 올랐고 가평군에 봉해졌으며 전라도부절제사 겸 전주부윤을 지내고 이어 부총관을 겸임했다.
    그외에도 이철근(李鐵根)과 이철영(李鐵榮)은 군수를 지냈으며 이장생(李長生)은 이조참판과 승지를 역임하였고 한성판윤을 지낸 뒤 병조참판에 재임되었다.
    백봉(白峰) 이민진(李敏進)은 1636년(인조 14년) 병자호란 때 인조가 피난 갔다는 말을 듣고 의병을 일으켜, 광산에서 적을 만나 격전 끝에 전사하여 뒤에 좌승지에 추증되고 정문이 세워졌다.
    또한 이명백(李命百)은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보은에서 왜적을 방어했고, 다음해 전사하여 이조판서에 추증 되었다.
    또한 이제항(李齊恒)은 1729년(영조 5년) 진사가 되고 1735년 문과에 급제한 후 이조좌랑과 승지 등을 역임했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지흥(李枝興, 1648 戊子生) : 무과(武科) 숙종10년(1684) 정시 병과(丙科)
     이계남(李戒男, 1600 庚子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쇠(李金, 1585 乙酉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신건(李信建, 1647 丁亥生) : 무과(武科) 숙종6년(1680) 정시 병과(丙科)
     이종남(李從男,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원두(李元斗, 1545 乙巳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선조12년(1579) 식년시 삼등(三等)
     이신(李○)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중종14년(1519) 식년시 이등(二等)
     이학령(李鶴齡, 1742 壬戌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5년(1759) 식년시 삼등(三等)
     이방후(李邦厚, 1711 辛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35년(1759) 식년시 삼등(三等)
     이진배(李震培, 1739 己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50년(1774) 식년시 삼등(三等)
    등 모두 14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무과 5명, 생원진사시 9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1930년 국세조사 자료에 의하면 가평이씨가 모여 살고 있는 곳은 충남 논산군 연산면 청동리와 황해도 평산군 안성면 양촌리 등지이다.
    특히 가평이씨가 많이 모여 살고 있는 황해도 평산군은 동북쪽 에는 멸악산맥을 끼고 있어 산세가 험하며 예성강이 흘러 교통의 요지를 이루는 곳으로 이곳의 산물로는 농산물 외에 숯이 유명하고 금과 은, 영석, 대리석 등 광물도 풍부하다.
    또한 평산은 산수가 수려하여 예로부터 양반이 많이 살기로 유명했다.
    그러나 반세기가 지난 지금은 많은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족보발간
    -신묘보 : 1771년(조선 영조 47년)
    -무술보 : 1838년(조선 헌종 4년)
    -신축보 : 1901년
    -계미보 : 1943년
    -정유보 : 1957년
    -계해보 : 1983년
    항렬자
    46世
    ○원(遠)
    ○조(造)
    47世
    상(相)○
    인(寅)○
    48世
    ○용(容)
    ○희(熙)
    49世
    세(世)○
    기(起)○
    50世
    ○종(鍾)
    ○현(鉉)
    51世
    준(濬)○
    영(永)○
    52世
    ○모(模)
    ○식(植)
    53世
    54世
    ○병(炳)
    ○광(光)
    55世
    호(鎬)○
    의(義)○
    56世
    ○수(洙)
    ○홍(洪)
    57世
    주(柱)○
    병(柄)○
    58世
    ○열(烈)
    ○형(炯)
    59世
    교(敎)○
    규(奎)○
    60世
    ○흠(欽)
    ○선(善)
    61世
    해(海)○
    제(濟)○
    62世
    ○래(來)
    ○갑(甲)
    63世
    영(榮)○
    환(煥)○
    64世
    -
    65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47世孫은 46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기도 가평
    가평(加平)은 경기도 중동부에 위치하는 지명으로 고구려 때에서는 근평군(斤平郡) 또는 병평군(並平郡)이었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조종현(朝宗縣)과 합하여 가평군(嘉平郡)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현종 9)에 강원도 춘성군(春城郡, 지금 춘천)에 편입되었다. 1396년(태조 5)에 조종현을 폐합한 후 1413년(태종 13) 강원도에서 경기도로 이관되었고, 1525년(중종 20)에 가평현(嘉平縣)에서 가평군으로 승격되었다. 1697년(숙종 23)에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707년에 다시 군으로 승격되었다. 1888년(고종 25)에 춘성부(春城府)에 속하였다가 1894년(고종 31)에 경기도로 환속되면서 포천군(抱川郡)에 속하게 되었다. 1896년 가평군으로 독립하였다가 1973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가평면이 가평군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가평이씨는
    1985년에는 4,066가구 18,624명, 2000년에는 5,108가구 15,815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11,936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