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강양이씨(江陽李氏)
    유래
     시조 : 이초(李超)
    시조 이초(李超) 고려시대에 사재령(司宰令)을 지냈다.
    <조선씨족통보>에 의하면 그의 선조는 협천이씨의 시조 이개(李開)의 후손이라고 되어 있다.
    이개는 시호가 문충으로 신라말의 충신으로 합천의 호장(戶長)을 지냈으며, 6세손인 이중비(李仲庇)가 고려 때 전서(典書)로 강양군에 봉해졌기 때문에 후손들이 본관을 강양으로 하였다.
    인물
    고려 때 이인영(李仁榮)은 대장군, 이안열(李安悅)은 호장, 이문통(李文通)은 좌복야(左僕射), 이중비(李仲庇)는 전서, 이익(李益)은 좌복야를 역임하였다.
    조선 때 이유연(李惟軟)은 목사를 지냈으며 이고(李苦)는 대도호부사에 올랐고 이중경(李仲卿)은 참판을 지냈다. 또한 이숙경(李叔卿)은 부사, 이온(李溫)은 군수, 이효재(李孝哉)는 현감을 역임하였고 이행은 도승지에 올랐다.
    이복로(李福老)는 목사(牧使)를 역임하였고 이덕로(李德老)는 현감을 지냈으며 이대윤(李大胤)은 절제사(節制使), 이숙기(李淑琦)는 군수를 지냈다.
    그리고 이숭은 안찰사(按察使), 이명는 판결사를 지냈으며 이엽(李燁)은 부호군에 올랐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경생(李敬生) : 문과(文科) 태조5년(1396) 식년시 동진사(同進士)
     이천해(李天海, 1668 戊申生) : 무과(武科) 숙종21년(1695) 별시 병과(丙科)
     이익방(李翼邦, 1631 辛未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현종4년(1663) 식년시 삼등(三等)
     이동교(李東喬, 1712 壬辰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영조17년(1741) 식년시 삼등(三等)
     이덕화(李德華, 1709 己丑生) : 역과(譯科) 영조3년(1727) 증광시 ()
     이세급(李世伋, 1696 丙子生) : 역과(譯科) 숙종43년(1717) 식년시 ()
     이언전(李彦○, 1740 庚申生) : 역과(譯科) 영조35년(1759) 식년시 ()
     이재환(李再煥, 1706 丙戌生) : 역과(譯科) 영조1년(1725) 증광시 ()
     이재현(李再炫, 1698 戊寅生) : 역과(譯科) 숙종40년(1714) 식년시 ()
     이언로(李彦○, 1748 戊辰生) : 역과(譯科) 영조49년(1773) 증광시 ()
    * 모두 10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2명, 역과 6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강양이씨가 모여 살고 있는 곳은 경남 합천군 합천읍 금양리와 경남 진주시 일대 그리고 경남 사천군 일원과 경남 의령군 일원 그리고 경북 금천시 일원과 경남 김해군 이북면 장방리 등지이다.
    특히 경북 사천군은 강양이씨가 많이 모여 살고 있는 곳으로 경남 서남부에서 진양군의 바로 남쪽에 위치하는 넓은 평지로 일찍부터 농업이 성했으며 어업도 활발하여 1읍 7면의 10만을 넘는 사천군민들이 비교적 풍요한 생활을 누리고 있다.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경상남도 합천
    강양(江陽)은 경상남도 합천군(陜川郡)의 옛 이름으로 신라 초기에는 대양주군(大良州郡) 또는 대야군(大倻郡)으로 불리었다. 565년(신라 진흥왕 26)에 대양주(大良州)를 설치하였으며, 661년(무열왕 8)에 압량주도독(押梁州都督)을 옮겨왔다. 757년(경덕왕 16)에 강양군(江陽郡)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현종 때에는 왕비 이씨의 고향이라 하여 합주군(陜州郡)로 승격하였으며, 거창군(居昌郡), 삼기현(三岐縣), 야로현(冶爐縣) 등 11개현을 속현으로 두었다. 조선 태종 때 합천군(陜川郡)으로 개편되었고,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진주부 합천군이 되었고, 1896년 경상남도 합천군이 되었다. 1914년에 군면 폐합으로 삼가(三嘉)·초계(草溪)·합천의 3개 현을 병합하여 합천면이 되었다가 1979년 합천읍으로 승격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강양이씨는
    1985년에는 1,058가구 4,476명, 2000년에는 582가구 1,903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9,887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