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즐겨찾기 등록
  • 국내최초 족보 전문사이트 Since 1997
  • 한국인의 뿌리와 전통을 이어갑니다
  • 뿌리를 찾아서는 국내에 현존하는 287개 성씨와 그에 따르는 3천여 개의 본관별 시조와 유래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www.rootsinfo.co.kr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강진이씨(康津李氏)
    유래
     시조 : 이진(李珍)
    시조 이진(李珍)은 고려 충렬왕 때 문과에 급제, 광정대부(匡靖大夫), 검교(檢校), 첨의찬성사(僉議贊成事)에 오르고, 1308년(고려 충렬왕 34년) 당시 세자였던 충선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보좌한 공으로 공신이 되었고 1351년(충정왕 3년)에 지도첨의상의(知都僉議商議), 1354년(공민왕 3년)에 평리가 되었으며 천추사(千秋使)로 원나라에 다녀왔다.
    이진의 선조는 본래 신라 남해왕 때의 사람 이완(李完)이라고 하지만 계대를 잃어 이진을 시조로하고, 강진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인물
    이진의 손자 이영기(李英奇)는 1366년(고려 공민왕 15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이 한림학사(翰林學士)에 이르렀다.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구원(邱園)으로 퇴거하였는데 태조가 여러번 벼슬을 내렸으나 끝내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
    조선시대에 4세손 이로(李擄)는 1453년(단종 1년) 계유정란에 공을 세워 세조 때에 정난원종공신에 책록되었고, 벼슬은 길주목사에 이르렀다.
    6세손 이만균(李萬鈞)은 1501년(연산군 7년) 성균생원(成均生員)에 합격하고, 1522년(중종 17년)에 문과에 급제하였다.
    1534년 옥천군수, 청주진관 겸 병마절제사(淸州鎭管兼兵馬節制使)를 역임하면서 치적이 많아 왕의 은전이 있었다. 홍문관부제학(弘文館副提學) 겸 경정참찬관(參贊官), 춘추관수찬관(春秋館修撰官)을 지내고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추증되었고, 경학과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다.
    이사경(李思敬)은 어려서부터 학문과 행의로 다른 사람들의 모범이 되었고 성품이 고결하여 의병장조헌(趙憲)과 교의가 깊었다.
    이상기는 효성이 지극하여 1871년에 유림에서 천거하여 효행에 대한 포상이 있었다. 그후 1881년 유생과 같이 만인소(萬人疏)를 올려 척사(斥邪)를 논하였다.
    구한말에 이봉수(李鳳洙)는 1903년 미국으로 건너가 대한인동지회와 조국광복동지회의 회원으로서 미국에서의 인구등록과 독립운동에 필요한 원조금을 모금하는데 많은 공을 세웠다.
    주요 인물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세형(李世衡) : 문과(文科) 세종18년(1436) 중시 을과(乙科)
     이세형(李世衡) : 문과(文科) 태종17년(1417) 식년시 병과(丙科)
    * 모두 2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2명)
  • ※ 과거급제자는 조선조방목 기록을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실제와 다를 수 있다.
  • 세거지
    - 충북 보은군 마노면 오천리
    - 충남 연기군 남면 눌왕리
    항렬자
    21世
    희(熙)
    22世
    교(敎)
    23世
    호(鎬)
    24世
    윤(潤)
    25世
    주(柱)
    26世
    병(炳)
    27世
    기(基)
    28世
    석(錫)
    29世
    구(求)
    30世
    동(東)
    31世
    열(烈)
    32世
    재(在)
    33世
    종(鍾)
    34世
    락(洛)
    35世
    -
    36世
    -
    37世
    -
    38世
    -
    39世
    -
    40世
    -
  • ※ 世와 代는 다른 것으로 世에서 1을 뺀 값이 代가 된다. (예: 22世孫은 21代孫)
  •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
    강진(康津)은 전라남도 남서해안에 위치하며, 옛 도강현(道康縣)과 탐진현(耽津縣)이 합쳐진 지명이다. 도강현은 백제 때는 도무군(道武郡)으로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양무군(陽武郡)으로 불리었고, 940년(고려 태조 23) 도강현으로 개칭되었으며, 1018년(현종 9) 영암군(靈巖郡)에 속하게 되었다. 1172년(명종 2)에 감무(監務)가 설치되었다. 탐진현은 백제의 동음현(冬音縣)으로 757년(경덕왕 16)에 탐진으로 고쳐서 양무군에 병합시켰고, 고려시대에는 영암에 속하였다가 뒤에 장흥(長興)의 속현이 되었다. 1417년(태종 17)에 병마도절제사영(兵馬都節制使營)을 도강의 옛 관청소재지로 옮겨 설치하고 탐진과 통합하여 강진으로 개편하였다. 관할 관청을 탐진에 두었다가 1429년(세종 11)에 도강의 송계(松溪)로 옮겼고 1475년(성종 6)에 다시 탐진으로 돌아갔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강진군이 되고 나주부(羅州府)가 관할하게 되었다. 1936년 강진면이 강진읍(康津邑)으로 승격되었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강진이씨는
    1985년에는 1,488가구 6,998명, 2000년에는 1,472가구 4,686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4,175명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