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를 찾아서 ... |
![]() |
|
www.rootsinfo.co.kr |
성씨의 종류와 유래
성씨의 역사
족보 이야기
친인척 호칭법
국가 연대표
역대왕 연대표
성씨별 인구순위
본관별 인구순위
고사성어
![]() ![]() ![]() |
![]() 강화이씨(江華李氏)
유래
시조 : 이대평(李大平)
시조 이대평(李大平)은 고려 때 중랑장(中郞將)과 태자태보(太子太保)를 역임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이다. 후손들이 그가 살아오던 하음(河陰. 강화의 옛이름)을 본관으로 하고 있다. 이대평의 15세손 이규보(李奎報)를 중시조로 하고 있다. 인물
중시조 이규보는 고려 때의 문인이자 문신으로 초명은 춘경(春卿), 호는 백운거사(白雲居士), 지헌(止軒), 삼곡호선생 이다. 명종 19년 사마시, 이듬해 문과에 급제했다.
호탕하고 활달한 시로 유명하며 저서로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시는 <동명왕편(東明王篇)> 등 많이 있다. 아들 이한(李澣)은 충렬왕 13년 과거에 급제하고, 좌대언(左代言), 지홍주사(知洪州事)를 역임했다. 그러나 충선왕 1년 담양으로 유배를 가게되어 후손들이 담양에 살게되었다. 이개는 시랑(侍郞)을 지냈고, 이백원(李白元)은 어사(御史)를 역임했으며 이돈 인(李敦仁)은 소감(小監), 이당문(李唐文)은 첨사, 이관(李琯)은 도정(都正), 이윤수 (李允綏)은 낭중(郞中), 이영물(李榮物)과 이함(李涵)은 판서에 올랐다. 또한 이익배(李益培)는 한림학사, 이총은 현감을 역임하였다. 조선시대 때 이윤화(李允和)는 관직이 부호군에 올랐으며, 이환검(李煥檢)은 판서, 이시는 상호군 이양숙(李楊叔)은 현감, 이일화(李日華)는 의금부사, 이의정(李義精)은 현감, 이재춘(李載春)은 참판, 이백호(李白好)는 동지중추부사를 역임하였다. 과거급제자(조선시대)
이만화(李萬和, 1716 丙申生) : 문과(文科) 정조10년(1786) 식년시 병과(丙科)
이시웅(李時雄, 1601 辛丑生) : 무과(武科) 인조15년(1637) 별시 병과(丙科) 이준손(李俊孫)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세종29년(1447) 식년시 삼등(三等) 이계방(李繼方)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인조24년(1646) 식년시 삼등(三等) 이일태(李日泰, 1651 辛卯生) : 생원진사시(生員進士試) 숙종9년(1683) 증광시 삼등(三等) * 모두 5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 1명, 무과 1명, 생원진사시 3명) 세거지
1930년 국세조사 자료에 의하면 강화이씨가 살고 있는 곳은 전남 담양군 금성면 봉서리와 전남 장성군 황용면 통안리 그리고 전남 곡성군 겸면 송강리와 전남 광산군 임곡면 고용리 등이다.
항렬자
본관 연혁
본관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
강화(江華)는 옛 이름은 갑비고차(甲比古次)이며 고구려 때 혈구군(穴口郡), 신라 때는 해구군(海口郡)으로 개칭하고 한주(漢州: 廣州)에 예속시켰다. 940년(고려 태조 23) 현재의 지명인 강화현으로 개편되었고, 1232년(고종 11) 몽골의 침입으로 고종이 천도하여 약 40년간 사실상 수도 역할을 하였으며 지군사(知郡事)로 승격되었다. 1413년(태종 13)에는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고, 1618년(광해군 10) 부윤(府尹)으로 승격되었고, 1627년(인조 5) 정묘호란 때에는 인조의 피난처가 되었으며 유수부(留守府)로 승격되었다. 병자호란(丙子胡亂) 때에도 인조가 몽진(蒙塵)을 하려고 하였다. 1906년(광무 10)에 강화군이 되었다. 1995년 경기도에 속하였다가 인천광역시로 편입되었다 지리적 조건으로 인해 근세에 이르러서는 병인양요(丙寅洋擾, 1886)·신미양요(辛未洋擾, 1871)·운양호사건(雲揚號事件, 1875) 등 역사적인 사건의 무대가 되기도 하였다. 인구수
통계청의 인구조사에 의하면 강화이씨는
1985년에는 774가구 3,739명, 2000년에는 508가구 1,699명, 가장 최근인 2015년에는 588명으로 조사되었다. |